15세 이상 취업자 월평균 고작 12만200명 증가금융위기 이후 역대 최저치
  • 식당 주방에서 한 여성 노동자가 설거지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식당 주방에서 한 여성 노동자가 설거지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30~40대 취업자 수가 월평균 14만명씩 빠른 속도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0대의 경우 취업자 감소 폭이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하면서 전체 취업자 증가(15세 이상) 규모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30대는 월평균 3만9300명, 40대는 10만1000명씩 취업자 수가 감소했다. 40대의 경우 현재 방식으로 통계집계를 변경한 1999년 6월 이후 취업자 수 감소폭이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2015년 11월부터 33개월 연속 감소세다.

    1~7월 월 평균 40대 취업자 감소폭은 2016년 4만6100명, 2017년에는 4만4100명으로 줄어들다 올해(10만1000명) 큰폭으로 확대됐다. 40대 고용률 역시 전년대비 감소했다.

    6개월 이상 장기실업자와 구직단념자 역시 기록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올해 1∼7월 15세 이상 전체 취업자 수는 월평균 12만2300명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충격이 최고조에 달했던 2009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에 정부는 올해 신규 고용목표치를 당초 32만명에서 18만명으로 하향 조정했지만, 달성이 사실상 힘들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다.

    정부의 목표치는 매달 취업자 수가 26만명 이상 늘어나야 가능한 수준이기 때문.

    일자리 창출 부진이 장기화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실업자 수 역시 7개월 연속 100만명을 넘어섰다. 대량실업 사태가 외환위기 이후 가장 장시간 이어지고 있는 것.

    6개월 이상 장기실업자도 월평균 14만4000명을 기록해 지난 2000년 이후 18년 만에 최대 수준으로 집계됐다. 구직단념자 역시 월평균 50만7000명에 육박하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비경제활동인구도 올해 1∼7월 월평균 9만9000명이 증가하는 등 급증하는 추세다. 비경제활동인구가 증가할 경우 노동시장의 활동성이 떨어지고, 체감경기 약화, 경제성장 둔화 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우려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최저임금 인상 등 소득주도 성장 정책이 자영업에 악영향을 미치면서 내수 악화 및 기업실적 약화, 고용불안 등 악순환이 이뤄지는 것이 아닌지 우려된다"라며 "한국 경제 주된 노동계층인 30~40대 급감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