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 광주시와 지역노동계 투자유치추진단 합의현대차와 협상 예정 불구 최종 투자유치까지는 난항 예상
  • ▲ ⓒ뉴데일리
    ▲ ⓒ뉴데일리

    기존 현대차 연봉의 반값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고용창출을 유도하는 이른바 '광주형 일자리' 프로젝트가 광주광역시와 지역노동계 합의로 재점화됐지만, 정작 현대차나 자동차 산업 측면에서는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새롭게 출범할 광주형 일자리 투자유치추진단이 현대차와 협상에 나설 예정이지만, 최종 타결까지는 난항이 예상된다.

    구체적인 내용이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주요쟁점에서 큰 이견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민노총과 현대차 노조의 반발이 심한 것도 걸림돌이다.

    우선 5년간 단체협약 유예를 취소하기로 한 것에 대해서는 법으로 정해진 것이기에 향후 언제든지 노조 활동에서 단체협약을 요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동차업계에서는 기본적으로 강경 성향의 노조원들이 언제든지 단체협약 카드를 꺼내들고 나올 수 있어, 현실적인 합의가 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최소 생산 물량을 적시하는 것도 현대차가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인한 수요 둔화로 글로벌 판매가 감소하고 있어 시장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특히 주요 경영정보를 노조와 공유하고, 주요 의사결정에 노조를 참여하도록 하는 것은 기존 현대차 경영방침과 결을 달리 하고 있다. 단순히 현대차만의 문제가 아니라 기아차와 한국지엠, 르노삼성, 쌍용차 등 다른 완성차업체들에도 큰 영향을 끼칠수 있다.

    즉, 자동차 산업의 특성을 감안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가 2대주주라고 하지만 저런 경영환경에서는 530억원을 투자할만 가치가 있는지 모르겠다”며 “강성 노조에 매년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현대차 입장에서는 새로운 노조를 받들어 모시기는 힘들지 않겠냐”고 반문했다.

    물론 정부와 지자체의 고용창출이라는 큰 정책에 호응해야 한다는 측면에서는 현대차도 고심이 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현대차 노조가 총파업 등 강경하게 반발하고 있는 것도 문제로 꼽힌다. 기존 공장에서 생산 물량이 일부라도 감소할 수 있고, 급여가 반값으로 쪼그라들면 그만큼 고임금을 받고 있던 본인들 입장에서는 여론의 따가운 시선을 받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