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시범 서비스 중단 선언… "택시업계와 소통의 장 마련 우선"잇따른 기사 분신사고에 사회적 대타협 기구 출범 무산 등 부담 원인
  • 카카오가 '카풀(승차 공유)' 서비스의 시범 시행을 중단하기로 하면서 극단으로 치닫던 택시업계의 반발도 한풀 꺾일 전망이다.

    이에 따라 그간 답보상태에 있던 택시·카풀 '사회적 대타협 기구' 출범도 본격화될 것으로 보이지만, ICT업계에선 이번 사례가 향후 모빌리티 생태계 발전에 걸림돌로 작용하게 될 것이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15일 카풀의 시범 서비스를 중단한다는 내용의 입장문을 발표했다. 지난달 7일 카풀 시범 서비스를 시행한 지 약 40일 만이다.

    회사 측은 "택시업계와의 협력 및 사회적 합의를 우선으로 해 원만한 소통의 장을 만들기 위한 결정"이라며 "사회적 대타협 기구는 물론 택시업계와 더 많은 대화의 기회를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대화에는 어떤 전제도 없으며 서비스 출시를 백지화할 수도 있다는 열린 자세로 대화에 임할 것"이라며 "추후에도 택시업계와 협력을 기반으로 한 이동의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피력했다.

    앞서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2월 카풀 스타트업 '럭시'를 252억원에 인수한 후 10월 카풀 운전자 모집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이에 택시업계는 카풀 서비스 도입을 반대하는 1·2차 대규모 집회를 통해 반발에 나섰지만, 회사 측은 지난달 7일 카풀의 시범 서비스를 시행하기로 결정했다.

    시범 서비스 기간인 지난달 10일에는 카풀 도입 반대 차원의 택시기사 분신사고가 발생, 3차 대규모 집회를 일으키기도 했지만 회사 측은 정식 출시를 무기한 연기하면서도 시범 서비스는 그대로 진행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실제 정주환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지난달 열린 택시·카풀 '사회적 대타협 기구' 출범 간담회에서 "현재 정식 서비스도 연기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범 서비스까지 중단하는 것은 (상생을 위한) 대화의 취지도 무색하게 만드는 것"이라며 카풀 시점 서비스에 대해 강행 의지를 내비친 바 있다.

    다만 업계에선 이달에도 택시기사 분신 사망 사고가 발생하면서 택시업계와 갈등이 커진 것을 비롯해 카풀에 대한 우호적 여론까지 일부 등을 돌린 점이 시범 서비스 및 정식 출시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했다는 설명이다.

    더욱이 택시업계의 경우 사회적 대타협 기구 참여 조건으로 카풀 서비스의 전면 중단을 요구하는 등 완강한 입장을 고수해 상생 협력에 대한 논의조차 이뤄지지 못한 것이 이번 결정의 핵심 배경으로 지목되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현재까지 카풀 서비스와 관련한 일정은 없는 상태로 택시업계와 원활한 대화의 장을 만들기 위해 사업적으로 어려운 결정을 했다"며 "사회적 대타협 기구 출범이 무산된 이후부터 국회, 정부와 논의 끝에 결정한 것으로 최대한 빠르게 실무적인 서비스 중단에 나설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카카오의 카풀 서비스 중단에 따라 ICT업계도 아쉬움을 토로하는 분위기다. 이들은 이번 사례로 인해 향후 혁신적인 모빌리티 서비스 및 관련 생태계 확산에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다.

    ICT업계 한 관계자는 "혁신 성장의 조건은 기존 산업과 신산업이 맞부딪치며 얼마나 융합하고 상생해 나가는지가 관건"이라며 "이번 카풀 서비스 중단 결정에 따라 기존 산업 보호에만 초점이 맞춰지면서 관련업계에서도 혁신 성장과 관련해 새로운 시도에 나서는 것이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국내 모빌리티 생태계 확산을 위해 좋은 아이디어를 가진 기업들도 택시업계 등 기존 산업과의 첨예한 대립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며 "이는 관련 생태계 발전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다양한 이동 선택권에 대한 니즈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