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 결과 5월 중 마무리 불확실… 판매 재개 '안갯 속'부품 및 전력전환장치 납품 및 설치 관련 중소형 업체 부담 가중
  • ▲ 1월 21일 울산시 남구 성암동 대성산업가스 울산공장 ESS 화재 현장ⓒ 연합뉴스
    ▲ 1월 21일 울산시 남구 성암동 대성산업가스 울산공장 ESS 화재 현장ⓒ 연합뉴스
    국내 배터리 업계가 정부의 ESS(에너지저장장치) 화재 원인 규명 장기화로 1분기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들이게 됐다. 실적 반등을 위해서 빠른 ESS 판매 재개가 관건이지만, 조사 결과가 언제 나올지는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상태다.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ESS는 지난해 잇따라 발생한 화재로 인해 정부와 함께 공동 조사단을 꾸려 원인을 파악하는 중이며 5월 중으로 마무리되면 판매 재개가 가능하다.

    5월 중으로 결과가 나온다고 해도 2분기에 큰 반등은 기대할 수 없을 것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업계 관계자는 “판매 중단 전에 발주를 준비해 놨던 물량은 2분기 실적에 바로 반영이 될 것”이라면서도 “실적 반등은 1, 2분기보다는 하반기부터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설명했다.

    원인 파악을 진행하는 국가기술표준원은 최대한 시험 실증 기간을 5월까지 마무리 짓겠다는 입장이지만, 지난달 30일 기준으로 시험 실증이 시작단계인 것으로 나타나 이마저도 확신할 수가 없다.

    이로 인한 피해는 배터리 업계를 포함한 핵심 부품, 전력전환장치(PCS), 설치 관련 중소형 업체가 고스란히 받게 됐다.

    삼성SDI와 LG화학은 ESS 원가의 70%가량 차지하는 중대형 배터리 제조사로 1분기 실적에 적잖은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ESS 시공 업계는 판매가 중단된 기간에 수익이 전혀 없어 투자한 금액 회수가 어려워지자 폐업 위기에 내몰리고 있는 실정이다. 

    ESS 화재로 인한 가동 중단은 1월 22일 정부에서 다중이용 시설의 충전율 제한하라는 공문을 보낸 직후에 시작됐고 원인 조사는 1월 조사위원회가 출범되면서 본격적으로 진행 중이다.

    한편, ESS 가동 중단으로 인한 피해 규모는 업계추산으로 4.5GWh(기가와트시) 기준 한 달 손실만 200억원을 넘어서며 서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