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용보증기금이 보증을 섰다가 떼인 돈이 2조원을 넘었지만 구상권 회수율은 3%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증부 대출 기업의 부도 등으로 대위변제를 했다가 구상권 시효 마저 완료돼 허공으로 사라진 돈들이다. 이 금액이 최근 5년간 2조1843억원에 달했다.

     

    2010년 2094억원, 2011년 4295억원, 2012년 4984억원으로 해마다 꾸준히 늘어나던 소멸채권은 지난해에는 6863억원으로 역대 최고액을 기록했다. 올 9월 현재도 3607억원으로 지난해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신보의 구상권 회수율을 매년 뒷걸음질 치고 있다. 2010년 4.2%, 2011년 3.8%, 2012년 3.6%였으며 지난해에는 고작 2.8%에 그쳤다.

     

    34조원 규모의 보증부 대출 중 지난해 기준 구상권 잔액은 17.5조, 구상권 발생금액은 1조8000억원, 회수금액은 5455억원 이었다.

     

    하지만 신보의 반응은 태연자약이다. 기관의 성격상 불가피한 측면이 있는데다 올해 구상권 회수율이 지난해 보다 0.2%p 상승했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는 황당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 ▲ ⓒ자료=신학용 의원실
    ▲ ⓒ자료=신학용 의원실

     

    보다못한 의원들이 나서 22일 열린 국정감사에서 신보의 무능을 집중 질타했다.

     

    정무위 신학용 의원은 "매년 수천억원의 채권이 소멸되고 채권회수율은 감소하는 상황에서도 기금이 문제의식 조차 없는 것이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유일호 의원은 "부실징후 등으로 사후관리가 필요한 대상이 연간 1만건이 넘지만 관리실적은 3~4%에 그치고 있다"며 "신보의 대응이 한심한 수준"이라고 질타했다.

     

    실제 신보는 2010년 관리 대상 1만 3216건 중 2%인 261건을 사후관리하는데 그쳤으며 올해도 6월 현재 7936건 중 330건만을 관리하고 있다.

     

    여야 의원들은 신용보증기금이 성장가능성과 기술력은 있지만 직접금융으로 자금 조달이 어려운 기업들을 발굴하고 키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옥석을 가려 가능성이 없는 기업에 투자해서 손실이 커져서도 안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