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퓰리즘성 단기 처방 넘어, 구조적 개혁 통해 위기 극복해야"

한국경제가 저성장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짙어지고 있는 가운데, '추경' 이라는 단기적 처방을 넘어 규제개혁 및 노동시장 유연성 확보 등 자기적 관점의 개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3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2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전분기 대비 0.3% 증가에 그치면서, 2009년 1분기 0.1% 이후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다. 이같은 초라한 성장률은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지난해 2분기 이래 0%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2분기 중동호흡기증후군인 메르스 사태와 가뭄이 우리 경제를 할퀴고 지나갔다면, 올 하반기에는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과 중국의 금융불안, 세계경기 둔화 등이 우리 경제 성장의 불확실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 ▲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하반기 미국 금리를 인상하겠다고 밝혔다.ⓒ연합뉴스
    ▲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하반기 미국 금리를 인상하겠다고 밝혔다.ⓒ연합뉴스

  • 가장 큰 변수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의 금리인상이다. 이르면 올 9월 이뤄질 예정으로 미국이 이같이 금리를 올리면 신흥국에서는 자본이 빠져나갈 가능성이 높다. 풀었던 돈을 거둬들이기 때문이다. 

    2년 전에도 벤 버냉키 미 연방준비의장이 양적완화 정책 규모를 줄이겠다는 테이퍼링 발언을 하자 특시 신흥국에 투자된 자금들이 크게 이탈해 홍역을 치른 바 있다. 

    한국에서는 이같은 급격한 자본이탈 현상이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이나 신흥국 전반이 흔들리게 된다면 수출 감소나 시장 변동성 확대 등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라 한국도 기준금리를 올리는 상황이 된다면 11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 문제가 심화돼 내수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뿐 아니라 세계 금융금융시장을 떨게 만드는 중국 증시 불안은 그리스사태 만큼이나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지난해 6월 이후 큰폭으로 성장, 지난달 7년여 만에 최고치를 찍었던 중국 증시는 3주 간 30% 넘게 폭락해 대혼란을 일으켰다. 이 기간 증발한 시가총액은 그리스 1년 GDP의 16배에 달하는 약 3700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역시 요동치는 중국 증시 영향에 따라 동반 급락했다, 오르기를 반복했다. 일본이나 미국도 여기서 벗어나지 못했다. 중국이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시장인 만큼 이는 국내 실물경제 회복에도 걸림돌이 될 수 있다.

  • ▲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하반기 미국 금리를 인상하겠다고 밝혔다.ⓒ연합뉴스

  • 이러한 추세라면 정부가 목표하는 올해 3%대 성장률 달성은 고사하고 '더블 딥(경기 재침체)'에 빠져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을 답습할 수 있다는 걱정 또한 커지게 된다. 

    그런 점에서 정부가 내놓은 11조5000억원의 추가경정예산을 포함한 22조 규모의 재정보강책은 한국 경제 부양의 단초가 될 전망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는 단기적인 처방일뿐 앞으로 다가올 위기를 극복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보다 구조적인 해법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정부가 과감한 규제완화와 노동시장 개혁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기업이 각종 설비투자는 물론 일자리 창출에 나설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동시장 부문 국가 경쟁력은 하위권이다. 특히 노사관계나 해고비용 측면에서는 60개국중 50위 이하로 낮은 수준이다.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이는 것은 부족한 인적 자본의 활용도를 높이고 산업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필수적인 과제로 꼽힌다.


  • ▲ 우리나라경제성장률추이와 생산요소별 성장기여도.ⓒLG경제연구원
    ▲ 우리나라경제성장률추이와 생산요소별 성장기여도.ⓒLG경제연구원


  • LG경제연구원 역시 보고서를 통해 단기적 처방인 포퓰리즘을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경제환경의 변화를 인정하지 않고 과거의 성장세를 지속하기 위해 대중적 처방을 남발하는 것은 경기침체를 더 장기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없지만 단기적 효과는 큰 재정지출 확대나 부동산 시장 부양의 유혹도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LG경제연구원 관계자는 "국내 경제의 성장세 저하가 구조적인 성격이 강한 만큼 정책 초점을 성장잠재력 확충으로 옮겨갈 필요가 있다"면서 "세계적으로 경쟁력 순위가 낮은 우리 노동시장과 공공부문의 구조 개혁에 적극 나서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국내외 경제환경 속에서 성장을 이끌 수 있는 새로운 동력 개발도 필요하다"면서 "시장 형성되지 않은 분야에서의 시장창출을 위해 소비를 제약하는 규제를 풀고 부족한 인프라 확충은 물론, 단편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내수서비스 활성화 정책을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설계해 시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