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동맹 6개사 中 4개사, 가입 지지의사 밝혀
  • 지난달 31일 서울 종로구 연지동 현대그룹빌딩에서 열린 현대상선 사채권자 집회에서 직원 및 관계자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연합뉴스
    ▲ 지난달 31일 서울 종로구 연지동 현대그룹빌딩에서 열린 현대상선 사채권자 집회에서 직원 및 관계자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연합뉴스

     


    현대상선이 회생을 위한 1~2차 관문을 무난하게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마지막 관문인 해운동맹 가입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1일 현대상선 채권단과 해운업계에 따르면 현대상선은 오는 2일부터 서울에서 열리는 해운동맹 G6 회원사 정례회의에서 새로운 해운동맹인 '디 얼라이언스(THE Alliance)'에 가입하기 위해 일부 선사들을 대상으로 설득 작업에 나선다.

    금융권 관계자는 "디 얼라이언스 소속 6개 회사 중 3개사(기존 G6 소속)는 현대상선의 경영 정상화가 이뤄진다면 해운동맹 가입을 지지하겠다는 의사를 문서를 통해 밝혔고, 1개 회사는 구두로 지지 의사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해운동맹 가입 여부는 소속 해운사들이 만장일치로 결정한다.

    현대상선은 앞으로 2개 회사(한진해운·K-라인)의 동의만 얻어내면 '디 얼라이언스'에 무리 없이 가입할 수 있는 셈이다. 기존 해운동맹인 CKYHE에 속해있다가 디 얼라이언스에 합류하는 한진해운과 K-라인도 현대상선의 합류를 반대할 이유가 없다는 게 해운업계의 분석이다.

    해운업은 다른 해운회사들과 공동으로 물류망을 구축하는 국제동맹 구성이 필수적이다.

    그렇지 않으면 운용할 수 있는 배가 한정되고, 노선을 다각화할 수 없어 가격 경쟁력·영업력 측면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동안의 경영 정상화 노력도 수포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채권단은 용선료 인하, 사채권자 채무 재조정, 해운동맹 가입이 결정돼야 지원에 나서겠다는 '조건부' 자율협약을 내건 바 있다.

    내년 3월까지만 운영되는 해운동맹은 △2M △G6 △Ocean3 △CKYHE의 4강 구도다. 그 이후 출범하는 신규 동맹은 △2M(머스크라인· MSC) △오션 얼라이언스(코스코그룹등 4개사) △디 얼라이언스(한진해운 등 6개사)의 3강으로 재편된다.

    다행히 현대상선과 동맹을 맺었던 G6 회원사 6곳 중 하팍로이드(독일), MOL(일본), NYK(일본) 3곳이 '디 얼라이언스'를 구성하고 있어 현대상선은 이번 G6 정례회의를 기회 삼아 신규 가입을 타진한다는 계획이다.

    새로운 해운동맹 중 2M과 오션 얼라이언스는 이미 소속 해운사 구성이 끝나 '디 얼라이언스'가 현대상선엔 사실상 유일한 선택지다.

    현대상선은 앞으로 한진해운과 K-라인의 확실한 지지 의사만 얻어내면 본격적으로 디 얼라이언스 편입을 위한 협상을 벌일 수 있게 된다.

    양창호 인천대 교수는 "K라인은 디 얼라이언스를 구축할 때부터 있었던 초창기 멤버라 발언권이 있겠지만, 동의가 어렵지는 않을 것"이라며 "현대상선의 해운동맹 가입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현재 현대상선 회생의 가장 중요한 '열쇠'인 용선료 협상은 타결에 근접한 상태다.

    협상 '데드라인'으로 여겨졌던 지난달 30일 주 채권은행인 산업은행과 현대상선은 "협상이 의미 있는 진척을 이뤘고, 조속한 시일 내에 합의에 도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불확실성을 없애려면 협상을 최대한 빠르게 마무리 지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율협약으로 들어가기 위한 2차 관문인 사채권자 채무 재조정도 순조롭게 이어지고 있다.

    현대상선은 지난달 31일 서울 연지동 본사에서 오전 11시와 오후 2시·5시에 세 차례 집회를 열어 모두 6천300억원 규모의 채무 재조정을 가결했다.

    회사채 50% 이상을 출자전환하고 잔여 채무를 2년 거치·3년 분할상환으로 갚는다는 내용이다.

    현대상선은 이날 오전 11시, 오후 3시에도 같은 안건으로 사채권자 집회를 연다. 다섯 차례에 걸친 집회에서 출자전환이 논의되는 채권 규모는 총 8천42억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