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운임료 인상, 지방세법 개정안 등 각종 부담에 시름
  • 시멘트업계가 각종 악재에 시달리며 생존권을 위협받고 있지만 마땅한 피해 구제안이 없는 상황이다.

    시멘트업계는 지난 9월 말부터 약 70일간 지속된 철도 파업으로 800억원 이상의 손실을 입었다. 파업의 여파는 상당했다. 특히 극성수기였던 10~11월 물량 공급에 차질을 빚어 올 4분기 실적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그럼에도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내년부터 시멘트 운송료를 올해 대비 약 9% 인상할 계획이다. 철도 파업 종결로 한숨을 돌렸던 업계는 또 다시 철도 운임 문제로 골머리를 앓게 됐다.

    시멘트업계는 지방세법 개정안 문제로도 속이 타들어가고 있다. 이철규 새누리당 의원을 중심으로 일부 의원들이 지역자원시설세에 시멘트를 포함시키는 지방세법 개정안을 발의했기 때문이다.

    시멘트업계는 연간 300억원 이상에 달하는 환경설비 구축 비용을 투자해 지역 공장 주민들을 건강에 대한 안전성 우려를 해소시키고 있다. 그럼에도 정치권에서는 주민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는 이유를 앞세워 세법 개정을 몰아세우고 있다. 수 년간 적자를 기록하며 침체된 업황에도 지속했던 업계의 노력은 철저히 외면받고 있는 것이다.

    이쯤되면 시멘트업계는 '동네북'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업계의 피해 및 침체된 업황은 그 누구도 신경써주지 않고 있다. 매번 새로운 부담을 짊어지거나 질타를 받아야 하는게 현실이다.

    최근 국회의원회관에서 진행된 지방세법 개정안 관련 토론회에서는 이러한 분위기가 더욱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업계를 대표해 나선 장광치 한국시멘트협회 부회장은 "더 잘하겠다. 선처해달라. 업황은 어렵지만 지역주민들을 위해 더 힘쓰겠다"며 호소했지만 돌아오는 것은 지방세법 개정안을 반대하고 있다는 '질타' 뿐이었다. 이날 장광치 부회장은 토론회에 참관한 지역주민들에게 수많은 비난을 받아야 했다. 그 어디에도 업계의 편을 들어주는 지지자는 없었다.

    올해도 한 해가 다 지나갔다. 재계에서는 CEO들이 내년 신년사들을 전하며 정유년(丁酉年)을 맞이할 준비에 한창이다. 하지만 시멘트업계는 새해부터 짊어질 부담에 새해를 맞는 마음이 무거울 수밖에 없다.

    길거리의 수많은 건물, 주거공간 등은 모두 시멘트를 근간으로 만들어진 결과물이다. 시멘트 산업이 국가경제 발전에 이바지한 부분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현 시점에서 시멘트업계는 철저한 을(乙)의 입장에서 핍박받고 있다. 한 번쯤 업계의 입장에서 그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줄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