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BC 200% 가정시 6000억원 추가 자본 투입해야
  • ▲ ⓒ뉴데일리
    ▲ ⓒ뉴데일리
    KB손해보험이 17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한 가운데 연내 추가 자본 확충이 예상되고 있다. 자본을 늘려도 지급여력비율(RBC)이 권고치를 겨우 웃돌기 때문이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5일 KB손해보험이 1706억원(주당 2만6250원, 신주 650만주)의 제3자 유상증자를 통한 신주권을 교부하는 가운데 건전성지표인 지급여력비율(RBC)이 기존보다 10%포인트 높아질 예정이다. 제3자배정 대상자는 최대 주주인 KB금융지주로, KB손보에 대한 지분율이 기존 33.3%에서 39.8%로 상승하게 된다.  

    증권가에서는 지난해 12월 말 기준 KB손보의 RBC비율이 154%로, 유상증자를 해도 164%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RBC비율은 보험사가 보험계약자에게 보험금을 제때 지급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금융당국에서는 건전성지표인 RBC비율이 150%를 넘을 것을 권고하고 있다.

    KB손보가 2015년 6월 KB금융지주 계열사로 포함된 이후 자본 수혈을 받는건 이번이 처음이다. 2015년 6월 170%대였던 RBC비율은 여전히 200%를 밑돌고 있다.  
  • ▲ ⓒ뉴데일리

    KB손보의 이번 유상증자는 금리 상승 및 RBC제도 변경에 따른 대응 차원인데다 재무건전성 지표가 소폭 상승되는데 그쳐 연내 추가적인 자본 확충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금리가 10bp 상승할 때 채권평가 이익 감소로 RBC비율은 최대 7%포인트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금리 상승에 대비해 자본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올해 3월에 예정된 IFRS17 기준서 발표와 부채 듀레이션 산출방식 단계적 강화 등의 이슈도 피해갈 수 없다.

    금융당국에서는 최종 기준서를 바탕으로 신 지급여력제도와 부채적정성평가를 포괄하는 감독기준을 개편하며, 이를 순차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개선된 감독기준안은 새 회계기준이 도입되는 2021년에 맞춰 적용된다.  

    게다가 지난해 말부터 해외 법인 등 계열사의 리스크를 반영하는 연결 RBC제도가 적용돼 RBC비율은 더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계열사의 잉여자본과 요구자본이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 건전성이 위험한 계열사가 많을수록 RBC는 떨어지게 된다. KB손보는 해외 법인 가운데 미국법인이 지난해 3분기까지 4300만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증권가에서는 KB손보가 추가 유상증자를 가정할 때 RBC비율 200%를 충족하기 위해 필요한 자본은7000여억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성용훈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목표치에 따라 자본 투입 규모가 달라지겠지만 추가로 6080억원의 자본이 투입되야 200%를 넘게 된다"며 "추가 유상증자 단행은 소액주주의 주식 가치를 희석해 주가가 하락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대주주가 어떤 방식으로 자본을 늘릴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추가 유상증자가 현실화되면 주가에는 25.9%의 하락요인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며 "다만 후순위채 발행 등 보완자본을 발행하면 기존 주주들에게 피해가 덜 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KB금융지주 관계자는 "시간이 덜 소요되는 방식을 택하다보니 유상증자를 통해 자본을 확충하게 됐다"며 "일단 최소 수준으로 유상증자를 진행했으며, 결산 후 상황을 지켜보고 추가 자본 확충 여부를 판단할 예정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