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도 지적 "수협은행장 인사, 정부 의견에 좌우"

  • 22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 은행회관에서 이원태 수협은행장이 새로운 수협은행 출범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 뉴시스
    ▲ 22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 은행회관에서 이원태 수협은행장이 새로운 수협은행 출범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 뉴시스


이원태 Sh수협은행장의 임기가 오는 4월 12일로 만료된다. 수협은행은 지난해말 수협중앙회에서 신경분리, 독립은행으로 새 닻을 올렸다. 수협중앙회는 이 행장의 임기 종료가 임박하자 이번만큼 새 행장이 '낙하산'이 아닌 전문경영인이 와야한다는 입장이다. 

수협은행장의 임기는 4년으로 이 행장의 연임은 사실상 어려운 상태다. 이 행장은 24회 행시 출신으로 기획재정부 정책기획관, 예금보험공사 부사장 등을 거친 관료 출신이다. 최순실 게이트 이후로 '낙하산'에 대한 여론이 극도로 예민해진 상황에서 관료 출신의 연임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수협은행장 자리를 기획재정부와 예금보험공사 출신 인사들이 독식해온 점도 부담이다. 이 행장의 전임인 이주형 행장도 예보 부사장을 지냈다. 

지금껏 수협은행의 지분 100%를 소유한 수협중앙회는 공적자금 상환(1조1500억원)의 덫에 걸려 독자적인 인사권을 행사하지 못했다. 하지만 이번 인사 만큼은 사정이 다르다. 
신경분리 취지를 살리고 수협은행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서는 반드시 전문경영인이 새 행장이 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최근 금융·공공기관 등의 인사에서 낙하산이 사라지고 내부발탁이나 외부 전문가가 선정된 사례가 잇따르는 점도 수협의 인사권 독립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수협중앙회는 새로 출발한 수협은행의 차기 수장의 조건으로 전문성을 제1의 조건으로 삼고있다. 

수협중앙회는 수협은행의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도 전문경영인이 반드시 차기 행장이 돼야 한다고 보고 있다. 수협은행은 2021년까지 순이익 1700억원의 중견은행을 목표로 삼고 있다. 현재 수협은행의 자산 규모는 28조원대로 시중은행 평균 자산 규모인 243조원의 1/10 수준이다. 

지난 5월 수협법 개정 당시 수협중앙회와 정부는 수협은행장 인선을 위한 인사추천위원회 위원 구성안을 두고 갈등을 빚었다. 

당시 수협중앙회 김임권 회장은 정부에 인사추천위원회 구성 중 정부 추천위원을 3명으로 하고 중앙회 추천위원을 4명으로 해줄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정부는 공적자금 상환을 위한 감시 강화를 들어 정부 추천 3인, 중앙회 추천 2인으로 추천위를 구성하는 것으로 법을 개정했다. 또 공적자금을 상환할 때까지 정부와 수협이 3:2 구조로 추천하기로 부칙을 더했다. 

당시 신정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수협중앙회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상 정부 의견에 좌우된다"며 자율성 침해를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