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업체, 생산라인 증설 돌입
  • ⓒ뉴데일리
    ▲ ⓒ뉴데일리


    메모리 반도체 시장이 향후 6년간 매년 7.3%씩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수혜가 기대된다.

    30일 시장조사기관 IC인사이츠와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D램과 낸드플래시를 비롯한 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2016년 773억달러(약 90조원)에서 2021년 1099억달러(약 127조원) 규모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같은 메모리 반도체의 성장세는 아날로그, 로직, 마이크로컴포넌츠 등 시스템반도체를 포함, 전체 반도체 시장이 향후 5년간 연평균 4.9% 성장하는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IC인사이츠는 내다봤다.

    반도체 중 아날로그 시장은 2016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연평균 5.2%, 마이크로콤포넌츠는 4.4%, 로직은 2.9%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같은 메모리 반도체 분야의 호황은 스마트폰과 빅데이터용 서버 등의 수요 확대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현재 반도체 업계는 진입장벽이 높아 과점 시장을 형성하고 있어 향후 반도체 업체들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된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10여개에 달했던 반도체 업체들은 지난 20여년 사이에 문을 닫거나 다른 기업에 인수 합병 되면서 국내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미국의 마이크론, 일본의 도시바 등 4∼5개만이 살아남았다.

    남아있는 반도체 업체들도 기술 구현이 어렵기 때문에 반도체 공급 증가도 제한적으로 이뤄져 시장 성장 기대감이 더 크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D램 시장에서 74%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두 회사의 낸드플래시 시장점유율도 47%에 달한다.

    이같은 시장 호황기에 국내 업체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생산라인을 증설하는 등 시장 지위 우위 다지기에 나서고 있다.

    삼성전자는 2015년 5월 경기도 평택 고덕산업단지에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생산라인을 조성하는 사업에 총 15조6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SK하이닉스는 지난달 22일 청주공장에 2조2000억 원을 쏟아부어 3D(3차원) 낸드플래시 전용 라인을 만들겠다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다만 외국 업체들의 견제도 만만치 않다.

    중국의 대표 국유 반도체 업체인 칭화유니그룹도 300억달러(약 35조 원)를 투입해 난징에 메모리칩 공장을 짓겠다고 최근 발표하는 등 국내 업체에 도전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반도체 호황은 한동안 지속되겠지만 무한정 이어지지도 않을 것"이라며 "중국이 천문학적 액수의 투자를 통한 '반도체 굴기(堀起)'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는 만큼 우리 기업들도 투자와 기술 격차 확대로 견제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