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용 가스 수익성 확보 '글쎄'… 무리한 셰일 수입 강행
  • ▲ 메탄 수입선 참고사진.ⓒ뉴데일리
    ▲ 메탄 수입선 참고사진.ⓒ뉴데일리


    정부가 미국과의 무역 불균형 해소를 위해 셰일가스(shale gas) 수입을 업계에 강요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2일 업계는 일부 기업들이 셰일가스를 울며 겨자 먹기로 수입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셰일가스는 주성분이 메탄(methane)으로 우리가 흔히 아는 액화천연가스(LNG)와 동일하다.

    발전용으로 사용되는 메탄은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따라 높은 수익성이 보장된 에너지원이 아니다. 발전용 에너지원으로 압도적인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는 우라늄과 유연탄이 있기에 메탄은 3순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원자력 발전소와 석탄 발전소는 가동률 100%를 유지하고 있지만 메탄 발전소는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기준으로 가동률이 39%에 불과했다.

    같은 양의 전기를 만드는데 우라늄은 5원, 유연탄은 33원, 천연가스는 68원이 든다. 저렴한 전기를 우선 구매하는 정부의 정책에 따라 원자력과 석탄 발전이 국내에서 필요 전기 대부분을 생산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메탄을 추가로 수입한 것을 상식적인 경영 판단으로 보기는 힘들다. 특히 호주, 중동, 인도네시아 등 공급계약을 이미 체결한 상황에서 소비가 늘지도 않은 메탄을 미국에서 수입할 이유는 찾기 어렵다.

    최근 정부가 미국과의 무역 균형을 위해 셰일가스 수입에 대해 강조하면서 기업들이 눈치를 보고 합리적인 경영 판단을 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주장이 일각에서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셰일가스 수입은 수익성 보다 정부의 눈치를 본 것이라고 생각된다"며 "전기 생산용으로 소비가 잘 되지 않는 메탄을 추가로 구매한 것이 시장(market)의 자율적 판단이라고 보기에는 힘들다"고 말했다.

    미국은 자국에서 생산하는 원유(crude oil) 가격이 셰일가스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하락했고 수출을 통해 자국 에너지원 가격 안정화를 추구하고 있다.

    미국은 지난 2007년 셰일가스가 본격 생산되기 시작했고 2009년에는 수출의 위해 대형 LNG선이 다닐 수 있도록 파나마 운하를 확장하기 시작했다. 지난해에는 1975년부터 유지했던 에너지원 수출 금지 규제를 40년만에 철폐했다.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정부가 들어선 올해부터는 본격적으로 셰일가스 판매를 통해 세계 각국에서 발생하는 무역 적자폭을 줄이려는 노력에 집중하고 있다.

    트럼프 정부의 한 관계자는 중국, 일본, 한국, 독일 등을 직접 언급하며 상당 규모의 대미 무역흑자를 보고 있는 나라들이 LNG는 다른 나라에서 수입하고 있다는 지적을 한 바 있다.

    정부가 무역 흑자폭을 줄이라는 미국의 요구를 외교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면서 산업계에 불똥이 튀었다는 분석에 무게가 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