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뉴데일리
    ▲ ⓒ뉴데일리


    농협금융지주가 수 천억원에 달하는 브랜드수수료에 배당까지 농협중앙회에 안겨줘야 할 돈이 늘어날 전망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농협중앙회는 올해 농협금융지주로부터 받을 배당금을 늘린다는 방침이다.

    이유는 앞서 2012년 신경분리 비용 4조5000억원(농금채)에 대한 이자보존 지원금이 이달로 끊겼기 때문이다.

    정부는 2017년도 예산안 중 농금채 이자보전액으로 전년대비 1170억원 감소한 505억원만 편성키로 했다.

    다행히 여야 합의 끝에 495억원 늘어난 1001억9500만원으로 예산 증액이 이뤄졌으나 그래도 약 600억원 부족분이 발생한다.

    이에 대해 농협중앙회 관계자는 “이자보존 부족분은 배당으로 충당할 계획이다”고 답했다.

    ◆중앙회 돈줄로 전락한 금융지주

    아직까지 농협금융지주 계열사는 올해 배당계획을 잡지 못하고 있다. 다행히 수익은 발생했지만 올해 금융환경이 녹록치 않은 상황에서 여윳돈을 마련하고 싶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앙회의 배당금 압박에 결론을 못 내고 있는 실정이다.

    그동안 농협금융지주의 배당금은 널뛰기 행보를 보였다. 2013년 2730억원, 2014년 425억원, 2015년 1800억원의 배당을 진행했다.

    농협금융지주의 배당성향은 평균 60% 이상에 달해 타 금융지주의 배당성향을 압도한다.

    금융당국이 금융회사의 고배당을 견제하면서도 농협금융지주만은 예외 사항을 둔 것이다.

    이에 대해 농협 측은 “농협금융지주는 농협중앙회가 100% 지분을 가졌기 때문에 배당금이 농민 지원을 위해 쓰인다”라며 “그 해의 배당금도 이익의 증감 여부보다 농민 지원을 위해 필요한 금액에 따라 결정되곤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농업을 지원하기 위해 지불하는 돈은 배당 외 경제지원사업비 명목의 명칭사용료도 수 천억원에 달한다.

    5년 동안 농협금융 계열사가 부담한 명칭사용료는 2012년 4351억원, 2013년 4535억원, 2014년 3317억원, 2015년 3526억원, 2016년 3835억원 등이다.

    올해도 이미 8개 계열사에 명칭사용료로 3628억원을 떠넘겼다. 명칭사용료는 3년간 평균 매출액을 기준으로 정하기 때문에 금융계열사가 적자가 발생해도 지불해야 할 돈이다.

    결국 금융계열사는 배당, 명칭사용료 등 경영 부담을 안고 올해 첫 출발을 나선 셈이다.

  • ▲ ⓒ뉴데일리


    ◆경영 악순환 결국은 중앙회 노력 부족


    사실 정부가 이자비용을 줄인 가장 큰 이유는 농협중앙회의 자구 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 때문이다.

    정부는 농협이 신경분리 작업을 진행하는 데 있어 성실히 이행할 수 있도록 2012년 농식품부-농협 간 사업구조개편 이행계획 약정을 맺은 바 있다.

    이행약정에 따라 농협중앙회가 발행한 농금채 4조5000억원에 대한 이자비용을 정부가 대신 5년 동안 납부키로 한 것이다.

    단, 농협은 경제사업활성화를 위해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총 2조8695억원의 비용을 투자키로 약속했다.

    하지만 실제로 투자된 금액은 2조214억원만 투자됐으며 이행률은 69.8%에 불과했다.

    사업구조개편 후 목표로 잡은 당기순이익도 매년 미달했다.

    이행약정서 상 연차별 자본확충 계획에서는 2012년부터 2015년까지 농협중앙회 당기순이익을 연평균 7258억원으로 예상하고 사업구조개편 계획을 수립했으나 실제로는 연평균 3444억원에 그치고 있어 계획과 실적 간 격차가 발생했다.

    목표로 잡은 수익이 떨어지니 당초 계획했던 금융경쟁력 제고도 이루지 못했다.

    사업구조개편 상에는 단계별 발전 전략을 통해 글로벌 수준의 협동조합 금융그룹으로 성장시킬 계획이었다.

    구체적으로 1단계 경쟁력 마련, 2단계 종합금융 리더십 강화 3단계 글로벌 수준 협동조합 금융그룹 달성 순이다.

    하지만 5년이 지난 농협금융지주는 덩치만 컸지 사실상 역행하는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