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명의 전임 사장 연달아 자리 이동차기 사장에 금피아 출신 고위공직자 거론
  • ▲ ⓒ서울보증보험 홈페이지
    ▲ ⓒ서울보증보험 홈페이지
    서울보증보험 수장자리가 관료들의 ‘철새 정거장’ 논란의 중심에 섰다. 관료 출신 전임 사장이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이동한 상황에서 후임 역시 관피아(관료+마피아)로 채워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서울보증보험 차기 사장에 금피아(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출신들이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서울보증보험은 오는 30일 정기 주주총회를 앞두고 내주에 열릴 정기 이사회에서 임원후보추천위원회 구성과 사장 공모 절차 등을 논의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대선정국에 돌입하면서 차기 사장 선임은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서울보증보험은 재경부, 금융위를 거쳐 금감원에 몸담았던 최종구 사장이 지난해 1월 선임됐다.  그러나 최 사장이 수출입은행장에 내정되면서 지난 6일부터 CEO 자리를 비우게 됐다. 이에 따라 김상택 전무가 직무대행을 맡았고 현재 후임 사장 공모 절차를 준비 중이다.

    업계에서는 ‘관피아 천국’으로 알려진 서울보증보험이 관료출신의 자리보전을 위한 정거장이 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기재부 출신인 최 전 사장은 지난해 취임 이후 서울보증 노조원들과 만나 3년 임기를 채울 것을 약속했지만 임기의 절반도 채우지 않고 중도 하차한 탓이다. 김옥찬 전 사장(현 KB금융지주 사장)이 자리를 이동한데 이어 두 번째다.

    서울보증보험의 구조적인 문제는 관료 출신이 잠시 쉬어가는 정거장 역할을 하면서 해결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서울보증의 후임 사장 선정 절차는 이사회를 통해 개최되지만 공적자금이 들어간 만큼 정부의 입김이 작용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서울보증보험은 지난 1998년 정부가 대한보증보험과 한국보증보험을 합병하면서 탄생했다. 외환위기 당시 정부가 보증보험에 11조9천억원의 공적자금을 지원하면서 예금보험공사가 지분 94%를 보유하고 있다. 서울보증은 6명의 전임 사장 가운데 정기홍·방영민·김병기·최종구 등 4명이 관료 출신이었다. 박해춘 전 사장과 김옥찬 전 사장도 정부에서 내려 보낸 인물들로 알려졌다. 

    서울보증보험은 공적자금 11조9161억원이 투입된지 10년이 지났지만 지난해 3월까지 공적자금의 30% 가량을 상환하는데 그쳤다. 예금보험공사에서는 10조2500억원을 지원받은 가운데 3조2000억원만 갚아 상환률이 31.2%를 기록했다.
     
    공적자금을 상환을 위한 민영화도 풀어야 할 숙제지만 이마저도 해결하기 어려운 상황. 민영화는 기업의 가치 판단에 따라 결정되는데 현재 독점 구조인 보증보험 시장을 개방할지에 대한 정책 방향이 나오지 않았다.  

    예금보험공사 관계자는 “기업가치가 결정되려면 시장 개방 여부가 결정이 되어야 하는데 불확실성이 있다 보니 가치 평가가 나오지 않고 있다”며 “일부는 배당으로 상환하고 있지만 매각이 이뤄지지 않으면서공적자금 회수도 지연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민영화에 성공한 우리은행의 경우 민영화 이전에 상임감사는 정부 입김에 의해 외부 인사가 맡았지만 민영화 이후 정부 입김이 배제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