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임추위, 민상기 임추위원장 선임 및 이사회 일정 조율대선 앞두고 안정체제 유지 가능성 높아
  • ⓒ 뉴데일리
    ▲ ⓒ 뉴데일리

    농협금융지주가 차기 회장 선임 절차에 본격 착수했다. 내달 임기가 만료되는 김용환 농협금융지주 회장 연임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5일 첫 임추위 개최…차기 농협금융 회장 인선 작업 돌입 

    농협금융 임원추천위원회는 지난 15일 첫 회의를 개최했다. 첫 이사회 주요 안건은 임추위원장 선임 및 차기 회장 후보 선정 관련 회의 일정 조율이었다.

    이사회 멤버들은 민상기 서울대 교수가 임추위원장을 맡는데 뜻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농협금융 임추위 구성원은 민상기 서울대 교수를 비롯해 전홍렬 전 금융감독원 부원장, 정병욱 변호사 등 3명의 사외이사와 사내이사 오병관 농협금융 부사장, 비상임이사 유남영 정읍농협 조합장 등 5명이다.

    농협금융 관계자는 "이사회 의장인 민상기 교수가 임추위원장도 맡아 차기 회장 인선작업을 이끌어나가게 됐다"며 "4월 말쯤 윤곽이 드러날 것 같다"고 언급했다. 

    농협금융 이사회는 내부 규정에 따라 회장 임기 만료일인 40일 전에 경영승계절차를 시작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이날 첫 임추위를 개최하고 회장 선임에 본격 돌입했다. 

    농협금융 경영승계 프로그램에 따르면 내부 후보군과 외부 자문기관에서 추천받은 후보군을 포함해 최종 후보군을 확정하게 된다.

    임추위는 확정된 후보군에 대해 서류심사와 평판조회를 참고해 후보군을 압축한 뒤 심층면접 절차를 통해 자격요건 검증에 나선다.

    이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최종후보자 1인을 선정하고 주총 소집 공고일 7일전까지 이사회에 통보해야한다.

    통상 회장 선임까지 3번 정도 임추위를 개최한다. 회장 후보는 임추위 위원 5명 중 4명이 찬성해야 최종 선임될 수 있다.

  • 김용환 농협금융회장. ⓒ 농협금융지주
    ▲ 김용환 농협금융회장. ⓒ 농협금융지주
    ◆농협금융 사상 첫 연임 회장 탄생하나…새 인물 선임 가능성도 관전포인트

    지금까지는 김용환 농협금융 회장의 연임 가능성에 힘이 실리고 있다.

    오는 5월 대선을 앞두고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어 안정 체제를 구축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김 회장이 리스크 관리 능력을 검증받은 것도 연임설에 힘을 보태는 부분이다. 

    농협금융은 지난해 조선·해운업 구조조정 여파로 대규모 적자를 냈지만 빅배스(Big Bath·부실자산 대량 손실처리)를 단행하며 위기를 극복했다. 

    지난해 1조7000억원에 달하는 충당금을 쌓았고, 반기만에 흑자 전환을 이뤄낸만큼 경영 능력은 충분히 입증됐다는 평가다.

    다만 2012년 농협금융 출범 후 단 한번도 회장 연임에 성공한 사례가 없다는게 흠이다. 신충식 초대 회장을 시작으로 신동규·임종룡 전 회장 모두 주어진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자리에서 물러났다.

    농협중앙회의 입김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중앙회가 금융지주의 지분 100%를 갖고 있어 김병원 회장의 의중이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김병원 회장은 지난해 10월 조직개편 단행시 농협은행·생명·손해보험을 중앙회 인사 개편 대상에 포함, 영향력을 키워나가고 있다.

    금융지주 회장 선임에 있어 정부 의사가 크게 반영됐던 전례도 무시하기 힘들다. 

    신충식 초대 회장을 제외하고 신동규·임종룡 전 회장과 김용환 현 회장 역시 모두 옛 재무부·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 출신이다. 

    이에 따라 또다시 관료 출신 인사가 금융 회장 자리를 채울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내부 출신 회장이 다시 나오길 기대하는 시선도 있다. 최근 여론을 감안했을 때 정권 유력인사나 관료 출신 선임에 대한 거부감이 크기 때문이다.

    농협금융은 지난해 말 기준 총 18명의 내부 후보군을 보유 중이다. 지주와 은행, 생명, 손해보험, 증권 등 경영진과 자회사 대표이사들을 대상으로 검증 작업을 지속적으로 펼쳐왔다. 

    금융권 관계자는 "대선이 5월로 앞당겨졌고 정권 교체 가능성까지 커진 상황에서 섣불리 관료 출신 인사를 선임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안정체제 유지를 위해 김용환 회장 연임 가능성이 크지만 변수가 많아 앞으로의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