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전력. ⓒ연합뉴스
    ▲ 한국전력. ⓒ연합뉴스

    석탄화력발전과 원자력이 주된 발전원으로 자리 잡으면서 이들 발전소가 밀집된 지역으로 발전설비가 편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전기를 많이 생산하는 지역과 많이 소비하는 지역이 따로 노는 불균형 구조도 심화되고 있다.

    21일 한국전력공사의 전력통계속보 등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발전설비용량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원자력발전소가 물려 있는 울산이었다.

    지난해 12월 신고리 원전 3호기가 완공되면서 발전설비용량이 전년보다 43.2%(약 1420㎿) 증가했다. 반면 울산의 지난해 전력소비량은 321억㎿h로, 전년(약 303억㎿h)보다 약 6% 증가하는데 그쳤다.

    여기에 울산에는 오는 11월 완공될 신고리 원전 4호기(설비용량 1400㎿)를 포함해 신고리 5호기(1400㎿·2021년), 6호기(1400㎿·2022년) 등이 잇따라 들어설 예정이다.

    그 다음으로 충남에는 지난해 당진화력 9·10호기, 태안화력 9호기 등 3513㎿의 신규 석탄발전소가 들어서면서 설비용량이 2015년보다 약 21% 증가했다.

    충남은 전체 발전설비 용량이 2만419㎿로 전국에서 발전설비가 가장 많이(전체의 19.3%) 들어서있으며 특히 전체 석탄화력발전소(3만2023㎿)의 약 48%(1만5310㎿)가 이 지역에 세워져있다.

    지난해 새로 지어진 전체 석탄발전설비 약 4690㎿ 중에서도 약 75%가 충남권에 들어섰다.

    그러나 지난해 전국의 전략사용량 가운데 충남에서 소비한 양은 485억㎿h로 9.7%에 그쳤다. 전년대비 증가율도 2.5%에 불과했다.

    이어 강원에는 지난해 12월 삼척에 약 1100㎿h 규모의 석탄화력발전이 준공되면서 설비용량이 전년보다 32.7% 증가했다. 하지만 전력수요는 1.8% 증가한 165억㎿h에 그쳤다.

    전북 역시 전력사용량은 2.9%(221억→227억㎿h) 늘어나는 동안 설비용량은 21%(2533→3066㎿) 증가해 설비용량 증가율이 사용량 증가율을 크게 웃돌았다.

    반면 전국에서 전기를 가장 많이 쓰는 경기(1094억㎿h)의 경우 지난해 발전설비용량은 3.4% 증가하는데 그쳤다. 충남에 이어 세 번째 소비처인 서울은 지난해 아예 발전소비용량이 22.9% 줄어들었다.

    이처럼 전력수요와 관계없이 특정 지역으로 발전설비가 편중된 것은 발전 때 1순위로 가동되는 기저발전인 석탄화력발전과 원자력발전의 설비 특성상 입지가 제약되기 때문이다.

    원전과 석탄발전은 바닷물을 발전용수로 사용하는데다 연료수입이 용이하고 안전사고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해안가에 주로 건설한다. 특히 환경문제나 안전규제 등으로 이들 발전소는 전력의 주 수요처인 수도권에는 들어서기 힘들다.

    그러다보니 이처럼 지역별 전력생산-소비간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력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이미 2015년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구상한대로 수요처 인근에 소규모 발전전원을 짓는 '분산형 전원' 확대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