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웅덩이, 비탈진 빙붕에서 물줄기 형성… 배수로 역할 해 붕괴 지연2100년 해수면 2m 상승 학설 뒤집어… 네이처지 4월호 게재
  • ▲ 1912년 영국 스콧팀 남극 탐사 당시 난센 빙붕 위 강(江)의 모습.ⓒ해수부
    ▲ 1912년 영국 스콧팀 남극 탐사 당시 난센 빙붕 위 강(江)의 모습.ⓒ해수부

    남극의 평평한 거대 얼음덩어리인 빙붕(氷棚)이 붕괴해 해수면이 올라가는 것을 인위적으로 늦출 수 있는 단서가 발견돼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이는 빙붕 붕괴 가속화로 말미암아 오는 2100년까지 세계 해수면이 2m쯤 상승할 거라는 기존 학설을 뒤집는 것이다.

    특히 이번 발견은 상황에 따라 빙붕 붕괴를 인위적으로 늦출 수도 있다는 해석이 가능해 앞으로 연구 성과에 관심이 쏠린다.

    20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2014년부터 추진한 '남극대륙 장보고 기지 주변 빙권 변화 진단, 원인 규명과 예측'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남극 빙붕 붕괴에 따른 해수면 상승이 예상보다 느리게 진행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단서를 발견했다.

    해당 단서는 지난해 초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가 장보고 기지 인근에 있는 난센 빙붕의 물웅덩이를 관찰하다 착안해 국제연구로 이어졌다.

    기온이 올라 빙붕에 물웅덩이가 생겼음에도 난센 빙붕이 안정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이후 극지연구소와 미국항공우주국(NASA), 컬럼비아대학교, 이탈리아 신기술·에너지 및 경제개발청(ENEA)은 국제 공동연구팀을 구성해 이런 현상의 원인을 규명했다.

    빙붕은 남극대륙과 연결돼 있지만, 바다 위에 떠 있는 거대 얼음덩어리를 말한다. 두께는 200~900m쯤으로 대륙의 빙하가 바다로 흘러내리는 것을 막는 방어막 역할을 한다.

    빙붕이 사라질수록 해수면 상승이 빨라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학계는 지구 온난화로 빙붕 표면의 얼음이 녹으면서 형성된 물웅덩이가 빙붕 붕괴를 촉진한다고 여겨왔다. 물웅덩이가 흰 얼음보다 태양열을 많이 흡수해 점차 커지고 깊어지면서 빙붕 붕괴 속도가 빨라진다는 논리였다.

    2002년 1~4월 서울 여의도 면적의 380배에 달하는 라르센 B 빙붕이 이렇게 해서 붕괴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난센 빙붕은 여름철(12~2월) 기온이 영상 0~5도(℃)까지 오르는 때에도 붕괴가 심화하지 않고 안정도를 유지했다.

  • ▲ 빙붕 붕괴 이해도.ⓒ해수부
    ▲ 빙붕 붕괴 이해도.ⓒ해수부

    연구팀은 원인이 난센 빙붕의 기울어진 형태(비탈형)에서 비롯된다고 결론 냈다.

    물웅덩이가 생겼어도 빙붕이 비탈져 있다 보니 물이 고이지 않고 물줄기(강)를 형성해 바다로 흘러나간다는 것이다. 비탈진 빙붕 위를 흐르는 물줄기가 배수로 역할을 하다 보니 녹은 물이 고여 붕괴를 촉진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이는 빙붕의 형태와 상관없이 물웅덩이가 생기면 빙붕 전체의 붕괴가 촉진된다는 기존의 학설을 뒤집는 것이다.

    학계에서는 그동안 빙붕 붕괴를 늦출 방법이 없어 2100년에는 세계 해수면이 지금보다 2m쯤 오를 것으로 여겨졌다.

    이원상 극지연구소 해수면변동예측사업단장은 "난센 빙붕은 비탈형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며 "빙붕 초기 상태에서는 대륙 쪽이 높고 바다 쪽이 낮으므로 얼마든지 비탈 형태로 물줄기가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고 부연했다.

    이는 물웅덩이가 생긴 빙붕에 인위적으로 비탈면을 만들어 물줄기를 형성하게 하면 빙붕 붕괴는 물론 해수면 상승 속도를 늦출 수도 있다는 얘기여서 눈길을 끈다.

    이 단장은 이에 대해 "현재로선 거기까지 연구나 논의가 진행되지는 않았다"면서도 "전혀 불가능한 얘기는 아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20일 4월호를 발행하는 권위 있는 학술지 영국 네이처지에 실렸다.

    김영석 해수부 장관은 "이번 연구결과와 장보고 과학기지 주변에 구축한 빙권 변화 종합 감시 관측망을 활용해 앞으로 더 정밀한 해수면 변동 예측 모델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