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2026년까지 1조1000억원 투입

  • 국토교통부는 4차 산업혁명 성공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주도하는 것에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를 위해 민간이 보유한 다양한 아이디어와 수요를 고려해 전략 분야를 선정·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국토부는 지난 21일 전문가 협업을 통해 마련한 국토교통 분야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을 '제6회 4차 산업혁명 발전포럼'에서 공개했다고 23일 밝혔다.

    4차 산업혁명은 물리학·디지털·생물학 기술 등 융합을 기반으로 논의되고 있다. 아직은 명확한 개념은 정의되지 않았지만, 인공지능 등 핵심 기술과 사회·경제 전반에 구조적 혁신 등 파급 효과에 대해선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국토부도 4차 산업혁명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난 1월부터 4차 산업혁명 대응 전략을 검토했다. 이후 지난 5일 발전포럼 발족 후 6차례에 걸쳐 약 50여명 전문가와 함께 국토부 역할에 대해 논의했다.

    국토부 미래전략 담당관 관계자는 "국민이 체감하지 못하는 4차 산업혁명은 의미가 없다"면서 "국민에게 서비스하는 기관으로 고도화·전문화를 이뤄내겠다"고 설명했다.

    4차 산업혁명이 국토교통 분야에 미치는 분야도 폭넓어진다.

    우선 국토 공간 측면에선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주거·도시 등 모든 생활 공간이 스마트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회기반시설(SOC)·교통 등 공공서비스에 사물인터넷(IoT)·인공지능(AI)과 같은 지능정보기술이 적용되면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해지는 등 국민의 삶이 안전해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 국토교통 산업에 로봇 기술이 활용되면서 무인화·자동화가 진행되고 자율주행차 등 신교통수단 확산을 예상할 수 있다. 이를 뒷받침하는 공간정보·빅데이터의 중요성과 활용도가 증가것으로 국토부는 내다보고 있다.

    국토부 미래전략 담당관 관계자는 "정부가 생각하는 발전방향은 국민들이 체감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라며 "국토교통 관련 산업들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예산을 늘려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국토부는 민간 참여 활성화를 위해 역할 분담과 협력적 구축을 목표로 한다. 이후 규제 시스템 재설계와 연구개발(R&D) 지원·인프라 구축·인력 양성 등 민간 도전 여건을 조성하는 데 주력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민간이 기술 개발과 벤처·창업 도전·비즈니스 모델 창출 등을 통해 스스로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국토부 미래전략 담당관 관계자는 "민간의 창의적 도전을 위한 여건과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핵심기술 확보에 주력하겠다"면서 "공공데이터를 수요자 맞춤형으로 개방하는 등 민간 활용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국토부는 4차 산업혁명 관련  R&D 투자를 지속해서 확대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올해 25개 과제에 총연구비 5000억 규모로 예산을 집행했다. 이후 2026년까지 총 연구비 1조1000억원을 투입한다. 구체적으로 '국토교통 연구개발 종합계획'을 수립해 향후 10년간 R&D 추진방향을 제시하고 중장기 투자 로드맵 마련한다.

    김경환 국토부 제1차관은 "기술적·사회적 여건 변화를 반영해 수요지향적인 전략을 꾀할 것"이라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민간과 함께 고민하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