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가신청 개시됐지만, 금융위 "시행세칙 아직 못정해"증권사 "대주주 리스크 따른 인가제한 방향도 나와야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금융당국이 초대형 투자은행(IB) 지정 및 단기금융업(발행어음 업무) 인가 신청서 접수를 시작한 반면 현재 요건을 갖춘 증권사들의 본격적인 움직임은 나오지 않고 있다.

     

    당국의 세부 시행세칙이 아직 정해지지 않아 해당 증권사들은 이를 확인하기 까지 시간을 두고 지켜본다는 계획이다.


    1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 12일 자기자본 4조원 이상의 대형 증권사 5곳의 IB업무 담당자를 불러 설명회 갖고, 이날 부터 초대형IB 지정 및 단기금융업 인가 신청 서류 접수를 시작했다.


    초대형 IB 인가에 대한 당국의 방향성이 증권업계 관심사인 상황에서 미래에셋대우·NH투자증권·KB증권·한국투자증권·삼성증권 등 대상 증권사는 물론 금융투자협회 실무자들도 설명회에 참석하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


    그러나 초대형IB의 단기금융업무가 업계의 기대만큼 이른 시기에 시작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초대형IB 요건을 갖춘 5개 증권사들이 일제히 해당 인가 신청 시기를 미뤘기 때문이다.


    신청 이후 인가까지 약 3개월 가량의 기간이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본격적인 초대형IB 탄생은 빨라야 4분기가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초대형IB 출범을 준비 중인 한 증권사 관계자는 "금융위원회와 감독원의 (초대형IB 인가에 따른) 세부 시행세칙이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힌 만큼 최종 세칙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해 당장 인가신청은 힘들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증권사 관계자는 "내부적으로는 어음발행업을 비롯한 전반적인 사업을 위한 팀을 꾸리긴 했지만 당국측은 인가 즉시 영엽을 할 수 있는 인원, 사무실 등 물리적 조건을 언급했다"며 "확실한 방향이 제시되기 이전까지는 급하게 사업을 추진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결국 5곳의 증권사들은 당국의 관련 시행세칙이 확실히 나오기 전까지는 초대형IB 출범을 잠시 미루겠다는 전략을 세운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대주주 리스크 등으로 당장 본격행보에 나설 수 없는 증권사들도 당국의 확실한 지침이 내려오지 않아 눈치보기에 들어간 상태다.


    지난 3월 자기자본 4조원을 돌파하며 업계 5번째 초대형 IB대열 합류한 삼성증권의 경우 대주주인 삼성생명이 자살보험금 미지급과 관련해 기관경고 조치를 받아 금융투자업 인가가 제한돼 있는 상태다.


    원칙적으로 규정을 적용할 경우 삼성증권은 내년 3~4월경 초대형IB 인가를 받을 수 있게 된다.


    한국투자증권도 지분 100%를 보유 중인 한국금융지주가 설립한 PEF 코너스톤의 파산 이슈로 발목을 잡혀 있고, KB증권의 경우 합병 이전 현대증권 시절 대주주에 대한 계열사 신용공여에 대한 금감원의 제재 절차에 따라 신규 사업 진출에 적신호가 켜질 수 있다.


    이같은 이슈와 관련해서도 금감원과 금융위는 관련 내용을 검토 중이라는 입장만을 밝힌 상황으로, 5곳 증권사들은 모두 쉽게 인가신청에 대한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상황을 맞고 있다.


    업계는 초대형 IB 업무 지연 기간이 길어질 경우 자본을 확충한 증권사들의 자기자본 활용도에 문제가 생길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특히 자기자본은 늘어난 반면 이를 효과적으로 굴리지 못해 ROE가 크게 감소해 경영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브로커리지 감소 등으로 실적은 오히려 악화하고 있는데다 초대형 IB가 출범해도 당장 수익을 내기 쉽지 않은 만큼 수익성 제고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며 "레버리지를 일으켜 IB사업을 하더라도 올해 당장 수익을 내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본격적인 초대형IB 출범이 빠른 시일 내에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초대형 IB 육성을 주도했던 금융당국의 업무적 유연성을 요구하고 있다.


    당국의 주도로 초대형 IB를 위해 비용을 투자해 자기자본을 늘리고, 인력과 조직도 키워놓은 만큼 금융투자업계와 자본시장의 활성화는 물론, 기업금융 등을 통한 산업 발전에 역할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