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G차 사용 확대 통해 경유차 대체LPG 수입 확대 및 온실가스 배출 증가 불가피
  • ⓒ연합뉴스
    ▲ ⓒ연합뉴스


미세먼지 대책의 일환으로 추진중인 LPG자동차 규제완화를 놓고 정부와 에너지업계간 뚜렷한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정부는 경유차를 미세먼지 주범으로 규정짓고 LPG차로 대체하자는 입장인 반면 에너지업계는 오히려 LPG 수입 확대 및 온실가스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이날 LPG산업협회, 대한석유협회 등 업계 및 산업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등 학계가 참여해 가동중인 'LPG 연료사용 제한 제도개선 TF'를 개최했다.

'LPG 연료사용 제한 제도개선 TF'는 정부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 결성한 이후 세 번째 열린 회의다.

현행법상 LPG 차량 구입은 택시와 렌터카, 장애인과 국가유공자만 가능하다. 일반인은 신차 기준 7인승 이상 다목적(SUV) 차량과 배기량 1000cc 미만 경차, 하이브리드차만 구입 가능하다.

향후 규제가 완화될 경우 일반인들의 LPG차 구입은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정부가 미세먼지 대책의 일환으로 2030년까지 경유차 퇴출, 경유에 대한 유류세 인상을 검토하고 있는 상황에서 LPG차는 이를 대신할 대안으로 떠오르는 상황이다.

하지만 에너지업계는 경유차의 미세먼지 발생 근거가 명확하지 않을 뿐 아니라 오히려 온실가스 늘릴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이에 석유협회는 TF에서 LPG차 규제 완화에 따른 LPG 수입 확대가 불가피해 경제적 이득이 없고 온실가스 감축이란 국제적 추세와 맞지 않다는 의견을 지속적으로 제기해 오고 있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경유차에서 발생하는 배출량도 미미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로 미세먼지의 70~80%는 중국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경유차의 경우 미세먼지 배출은 전체의 11%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된다.

업계 관계자는 "LPG차 미세먼지 배출에 대한 명확한 데이터는 제시하지 않고 있다"며 "오히려 향후 수입 확대 및 안전성 등은 부정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