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A와 연계한 PPP 활성화… 신재생 에너지·첨단플랜트 등 확대"정책 일관성 유지해야 유가 등 다시 휘둘리지 않을 수 있어"
  • ▲ 자료사진. ⓒ뉴데일리경제 DB
    ▲ 자료사진. ⓒ뉴데일리경제 DB


    새 정부가 해외건설 수주 목표액을 기존 연간 1000억달러에서 5년간 2000억달러(한화 약 223조원)로 수정한 가운데 전략 또한 '양적성장'에서 '질적성장'으로 바꿨다.

    2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최근 국정기획자문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을 발표했다. 먼저 국토부 그동안 해외건설 수주 목표치였던 연간 1000억달러가 지나치게 비현실적이란 업계의 지적을 받아들여 5년간 2000억달러로 수정했다.

    국내 건설업체들의 해외건설 수주는 지난 2013년 652억달러(약 73조원)를 기록하며 정점을 찍었다. 당시 정부와 건설업계는 연간 1000억달러 수주를 목표로 세우고 공격적인 해외수주에 나선 바 있다. 하지만 국제유가 하락이 시작된 2015년부터 461억달러(약 52조원)로 곤두박질 쳤고, 심지어 지난해에는 282억달러(약 32조원) 수주하는데 그쳤다.

    올 상반기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건설 수주액도 총 163억3650만달러로 지난해보다 1% 늘어난 수준을 기록했다. 저유가로 국내 건설업체의 수주 텃밭인 중동지역의 수주가 급감한 것이 주요 원인이 됐다.

    이에 정부는 해외건설 수주액 목표치를 낮춰 저가수주를 지양하고 지역·품종을 고급화·다양화해 부가가치를 높일 방침이다.

    이를 위해 단순 도급사업에서 벗어나 새 수익모델인 민관합동 투자사업(PPP)을 중심으로 시장을 개척에 나선다.

    PPP는 주로 인프라 구축에 활용되며 해당국가가 해외에서 자본투자를 받아 진행되는 사업으로, 사업개발에서부터 지분투자, 시공 후 운영까지 모든 과정에 건설업체가 참여한다. 연초 대림산업·SK컨소시엄이 수주한 터키 차나칼레 현수교 사업이 대표적인 PPP사업이다.

    PPP사업은 공적개발원조사업(ODA)과 연계해 진행되는 경우도 많다. ODA는 한국수출입은행의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차관사업 형태로, 개도국에 금액을 지원하면 국내 업체가 해당국가 개발사업에 참여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신재생 에너지와 첨단플랜트·신교통·스마트시티 등 4차 산업과 연계된 다양한 분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하지만 업계에선 우리나라의 수주 구조가 지역으로는 중동, 공종은 플랜트에 집중돼 있는 구조로 이를 급격히 대체할만한 시장은 현재로선 찾기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실제 올 상반기 국가별 수주현황을 보면 △중동 89억9417만달러로 전체의 55.2%에 달한다. 이어 △아시아 65억9491만달러로 두 번째로 비중이 높다. △유럽 2억9338만달러 △중남미 2억2521만달러 △아프리카 1억3513만달러 △태평양·북미 7222만달러에 그쳤다.

    손태홍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의 전략은 중동 플랜트 등 강점은 그대로 가져가되 PPP사업 등 투자 개발형 사업으로의 전환을 꾀해 아시아나 유럽·미국 같은 선진국 시장 진출을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고 본다"면서도 "이전부터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업계 목소리가 나왔던 만큼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해야 유가, 중동 발주물량 등에 또 다시 휘둘리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국내 업체의 사업 수행능력 등 신시장 개척에 나설 준비가 돼 있는지도 의문이다.

    손 연구위원은 "4차 산업 연계 등 다양한 분야의 확대를 위해선 최우선적으로 기업의 수행능력이 확보가 돼야 한다"며 "다양한 정책들을 선별적으로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