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산란계 농가, 3월 이후 살충제 사용 가능성도 배제 못 해농식품부 "닭 진드기 7·8월 왕성"… 최근 사용 가능성에 무게 둬
  • ▲ 고개 숙인 허태웅 농식품부 식품정책실장.ⓒ연합뉴스
    ▲ 고개 숙인 허태웅 농식품부 식품정책실장.ⓒ연합뉴스

    국내 친환경인증 농가의 달걀에서 사용이 금지된 살충제 성분이 검출돼 유통이 금지된 가운데 이 농가에서 지난달 9일 이후 생산·유통된 달걀이 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에 사놓은 달걀의 안전성 여부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늦어도 내일 중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5일 오후 김영록 장관 주재로 제2차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열어 산란계(알 낳는 닭) 농장의 달걀 출하중지와 전수조사 등 후속 조처를 점검하고 수급 관리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날 0시부터 전체 산란계 농장 1456곳의 달걀 출하를 중지한 농식품부는 오는 17일까지 전수 조사를 마치고 검사증명서를 발급받은 달걀만 시중에 유통하기로 했다.

    김 장관은 회의 모두발언에서 "오늘 중으로 20만 마리 이상 대규모 산란계 사육농장에 대해 조사를 마치고, 내일(16일)부터 평상시 달걀 물량의 25%쯤이 유통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농식품부 설명으로는 전수조사는 농가별 1㎏의 달걀 시료(16~18개)를 채취한 뒤 노른자와 흰자를 풀어 균질한 상태로 만들어 검사한다. 검사결과는 7~8시간이 지나야 나온다.

    허태웅 식품산업정책실장은 대책회의 후 진행한 브리핑에서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10개소)과 지방자치단체 동물위생시험소(17개소) 등 검사기관을 총 가동하고 있다"며 "한 곳당 43농가의 시료를 조사하게 되므로 목표한 사흘 이내 조사가 완료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허 실장은 이미 유통돼 소비자가 사놓은 달걀의 안전성과 관련해선 "식약처에서 오늘이나 내일 중 관련 대책을 발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이번에 검출된 '피프로닐'은 살포 후 살충성분이 보통 30일간 잔류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살충제를 사용할 때 농도에 따라 농약잔류 기간이 달라질 것"이라고 부연했다.

    농식품부가 경기 남양주시의 산란계 농가에서 달걀 시료를 채취한 게 지난 9일임을 고려하면 지난달 9일 이후 이 농가에서 생산·유통한 달걀에 살충제 성분이 포함됐을 위험이 있다.

    남양주시 농가의 달걀 시료에서는 잔류허용기준인 0.02㎎/㎏을 웃도는 0.0363㎎/㎏의 피프로닐 성분이 나왔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피프로닐을 다량 섭취할 경우 간장과 신장 등 장기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농식품부는 지난 3월 친환경(무항생제) 산란계 농장 681곳에 대해 현장 점검을 벌인 결과 살충성분이 나오지 않았다고 확인했다.

    해당 농가에서 3월 점검 이후 피프로닐 성분이 포함된 살충제를 사용했을 수 있다는 얘기다.

    다만 농식품부는 4~5월에도 157개소에서 유통 중인 친환경 달걀을 검사해 살충성분이 검출되지 않았고, 닭 진드기가 7·8월에 활동이 왕성한 만큼 해당 농가에서 최근에 살충제를 사용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남양주시 산란계 농가는 도매상격인 중간유통상 5곳에 달걀을 납품해온 것으로 조사됐다. 이 농가에서 하루에 생산되는 달걀은 2만5000개쯤이다. 달걀은 2~3일마다 출하하며, 현재 농가 창고에는 불과 2~3일 이내에 생산한 달걀만 남아 있고, 나머지는 모두 출하된 것으로 파악됐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남양주시 농장주는 조사에서 언제부터 해당 살충제를 사용했는지 기억이 가물가물하다고 했다"고 전했다.

    남양주시 산란계 농장에서 피프로닐 성분이 포함된 달걀 시료가 채취된 게 지난 9일이고 검사 결과가 14일 오후 2시에 나왔으므로 검사 결과를 기다리던 엿새간 생산한 달걀만도 약 15만개에 달한다. 잠정적인 위험군인 지난달 9일까지 역산하면 75만개의 달걀이 생산돼 대부분 유통·소비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