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지점 축소로 은행 공공성 논란, 금감원 점검 의사 밝혀지점 줄여 비용 감축·효율성 높이던 은행들, 축소 계획 급제동
  • ▲ 시중은행 영업점 전경. ⓒ 뉴데일리
    ▲ 시중은행 영업점 전경. ⓒ 뉴데일리

    비대면 채널 활성화를 이유로 몸집 줄이기에 속도를 내던 은행권이 암초를 만났다.

국정감사에서 급격한 은행 점포 폐쇄에 따른 부작용이 거론됨에 따라 은행들로서는 불가피하게 지점 축소 전략을 손봐야 하는 상황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최흥식 금융감독원장은 전날 열린 금감원 국정감사에서 앞으로 은행 검사시 점포 축소 관련 공공성 부분을 면밀히 점검하고 공익 차원에서 설득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하반기 90여곳의 문을 닫은 한국씨티은행 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지점 폐쇄가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은행들이 고객 불편 등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서다.

실제로 유의동 바른정당 의원이 금감원에서 받은 제출자료에 따르면 은행들이 지난 2012년부터 올해까지 총 1480개의 점포를 폐쇄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올해 말로 계획된 118개 지점이 문을 닫을 경우 6년 간 은행권 폐쇄 지점은 총 1598곳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 ▲ ⓒ 유의동 의원실
    ▲ ⓒ 유의동 의원실

  • 해당 기간동안 은행별로 살펴보면 지난 2015년 옛 외환은행과 하나은행을 통합한 KEB하나은행의 점포 폐쇄가 많았다. 

    두 은행의 중복 점포 정리작업을 활발히 펼쳤던 지난해에는 무려 76곳의 지점을 폐쇄, 4대 시중은행 가운데 가장 많은 수를 줄였다.

    신한은행과 국민은행도 연말 폐쇄 점포를 포함할 경우 문을 닫게되는 점포는 올해 총 112곳, 70곳을 육박할 예정이다. 

    특히, 대규모 지점망을 보유한 국민은행은 올해 상반기에만 총 69곳의 지점을 없앴다. 

    국민은행은 62곳을 줄였던 2014년 이후 매년 45곳(2015년), 36곳(2016년) 등 두자릿수에 달하는 규모를 줄이고 있다.

    정치권은 은행들이 수익성 악화를 이유로 비용을 줄이기 위해 지점 줄이기에 총력을 다하고 있지만 사실 점포 폐쇄가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국감에서 문제를 거론한 유의동 의원은 "지난 6년 간 은행 영업이익과 지점 폐쇄를 비교할 때 지점 폐쇄가 수익저하와 일치하지 않았다"며 "대대적인 지점 폐쇄를 진행한 한국씨티은행은 오히려 점포 생산성이 은행 중 최고였다"고 지적했다. 

    최흥식 금감원장 역시 은행들이 영업비용을 관리하기 위해 지점 축소를 빠르게 진행하고 있다는 의견에 공감대를 나타내며, 향후 검사시 은행들을 설득하겠다고 언급했다.

    금융감독원의 이같은 입장에 은행권은 난감하다는 입장이다. 

    비대면채널 활성화로 지점을 찾는 고객들이 계속 줄어들다보니 효율성과 비용 측면에서는 점포 축소가 훨씬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각종 IT기술 발달로 금융산업이 변하는 가운데 공공성을 이유로 과거의 영업방식을 고수하는 것이 옳은지 의문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다만 은행들의 운영 전략, 경영 방식이 금융당국의 영향을 크게 받는 만큼 올해 하반기부터 은행권 점포 폐쇄 계획에 급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지난 7월 금융당국이 점포 폐쇄 관련 행정지도 공문을 보낸 뒤 10월 예정돼있던 지점 3곳 폐쇄를 잠정중단한 바 있다"며 "이번 국감에서 금감원장이 점포 폐쇄에 부정적 의견을 직접적으로 거론한 만큼 영업점 폐쇄에 있어 중장기적 전략을 다시 짜야할 것"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