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일혁명 경쟁력 확보 에너지원 쓰지 못하게 막는 비극적인 정책 개선 필요"
  • ▲ 수송용 연료 관련 자료사진.ⓒ뉴데일리
    ▲ 수송용 연료 관련 자료사진.ⓒ뉴데일리



    자동차용 연료인 부탄(butane) 소비가 감소하면서 수송용 에너지에 대한 정부 규제 완화가 절실하다는 지적이 업계에서 나오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소비된 부탄의 양이 234만6천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사용된 247만8천t에 비해 5.3% 감소했다. 2015년에는 2014년 보다 1.8% 수송용 부탄 소비가 줄었다. 현재 추세라면 올해 부탄 소비 감소폭은 지난해 보다 높을 전망이다.

    부탄 차량을 일반인이 구매할 수 없게 막는 정부의 규제에 대해 볼멘소리가 업계를 중심으로 흘러 나오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여전히 수송용 부탄 시장이 붕괴되면서 사업자들에게 올 피해에 대해 심각성을 깨닫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정부는 부탄을 사용하는 차량을 구매할 수 있는 사람을 국가유공자, 장애인, 택시 사업자, 렌터카 사업자 등으로 한정하고 있다.

    그동안 업계의 불만을 반영해 정부는 5년이 지난 중고 부탄 연료 차량을 일반인도 구매할 수 있도록 법안을 만들고 내년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는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수송용 부탄 소비자들의 속도를 늦추는 수준에 그칠 뿐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책은 아니라는 것이 업계 전문가들의 지배적인 분석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수송용 부탄의 소비가 2009년 연간 450만t으로 정점을 찍은 뒤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며 "정부가 원유를 통해 생산하는 휘발유와 경유에 대한 의존도을 줄이기 위해 육성한 수송용 부탄 시장이 정부의 꽉 막힌 규제로 죽어가고 있다"고 개탄했다.

    국내에서 부탄을 수송용으로 공급하는 사업자는 SK가스, E1(Energy 1st), GS칼텍스, SK에너지, 에쓰-오일(S-OIL), 현대오일뱅크 등이 있다. 수송용 부탄 시장은 원유로 생산하는 휘발유와 경유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았던 과거 수송용 에너지 믹스(energy mix)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정부가 사업자를 모집해 육성했다.  

    현재 가장 많은 양의 부탄을 수입해 유통하는 SK가스와 E1이 전체 시장의 50% 이상을 점유하면서 수송용 부탄 시장을 이끌고 있다. GS칼텍스와 SK에너지, 에쓰-오일, 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4대 정유사는 휘발유와 경유라는 수송용 연료 생산하면서 병산되는 부탄 일부를 수송용으로 유통하고 있다. 

    줄어드는 부탄 소비로 가장 심각한 타격을 입는 업체는 당연히 SK가스와 E1이다. 국내 정유4사는 휘발유와 경유라는 안정적인 수요가 뒷받침되는 시장에서 영업하고 있는 만큼 가파른 부탄 감소에 따른 피해가 심각하지는 않다.

    정부가 수송용 부탄에 대한 소비 감소를 막지 못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경제성을 인정받고 있는 에너지원을 활용하지 못하게 만드는 비극적인 정책의 결과로 해석되고 있다.

    미국을 중심으로 본격화된 셰일 가스(shale gas) 생산으로 부탄이 가격 경쟁력을 가지고 수송용 연료 시장에서 휘발유(gasoline)나 경유(diesel)와 경쟁을 할 수 있게 됐다.

    셰일가스는 메탄(methane)이 주원료인 탄화수소인데 셰일가스 개발 과정에서 메탄 외에도 에탄(ethane), 프로판(propane), 부탄 등 비교적 탄소 숫자가 적은 가벼운 화석연료들의 같이 생산되고 있는 만큼 에너지 믹스에 대한 관대한 시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