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저렴한 신소재 연료탱크 개발… 국제규정 고쳐야 사용 가능일본 등 시장 잠식 우려해 반대… 분위기 조성에 임총장 역할 기대
  • 지난해 4월 미국 샌디에이고 나스코 조선소에서 대우조선해양의 천연가스 추진 선박 기술이 적용된 LNG 추진 컨테이너선 명명식이 진행되고 있다.ⓒ연합뉴스
    ▲ 지난해 4월 미국 샌디에이고 나스코 조선소에서 대우조선해양의 천연가스 추진 선박 기술이 적용된 LNG 추진 컨테이너선 명명식이 진행되고 있다.ⓒ연합뉴스

    정부가 친환경 액화천연가스(LNG) 추진선박을 해양신산업으로 육성하기로 한 가운데 선박 관련 규제업무를 담당하는 유엔 산하 국제해사기구(IMO)의 임기택 사무총장 역할에 관심이 쏠린다.

    연관산업 육성을 위해선 IMO 규정 변경이 필요한데 반대하는 회원국을 설득하는 데 임 사무총장의 막후 조정이 적잖은 힘이 될 수 있어서다.

    해양수산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LNG 추진선박 연관산업 육성 방안을 발표했다. 해운업경쟁력 강화와 조선산업 고부가가치화 등을 통해 침체한 해운·조선업을 부흥하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LNG 추진선 연관 산업에 해운·조선·항만분야가 톱니바퀴처럼 맞물려 있다며 포스코가 개발한 LNG 연료탱크를 협력 사례로 들었다.

    포스코는 극저온용 고망간강을 LNG 연료탱크 소재로 활용하는 독자 기술을 개발했다. 포스코는 지난 6월 현대미포조선과 5만톤급 LNG 추진선을 건조하는 계약을 맺고 국내 중소형 선사인 일신해운과 LNG 추진선을 이용한 동해~광양 간 석회석 운송계약을 체결했다. 제철회사의 신소재 개발이 조선사와 해운사의 일감으로 순환하는 구조다.

    정부는 포스코가 개발한 고망간강 소재가 기존 소재를 대체할 경우 연간 5000억원 이상의 경제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암초는 IMO 규정이다. 현행 IMO 규정에는 LNG 연료탱크 소재로 니켈합금강과 스테인리스강 등만 사용할 수 있다.

    문제는 규정 변경이 녹록지 않다는 점이다. IMO는 다른 국제기구와 달리 사무국의 발언권이 크지 않다. 회원국의 입김이 세다는 얘기다.

    의제가 채택되려면 소위원회의 실무논의를 거쳐 위원회를 통과해야 하는데 반대의견이 없을 때까지 토론하는 방식이어서 통과를 장담할 수 없다.

    LNG 연료탱크 신소재의 경우 일본이 반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일본제철에서 기존 스테인리스강을 활용해 독자적인 연료탱크를 생산하고 있어 포스코의 신기술을 달가워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포스코 제품이 상용화하면 일본이 점유하고 있는 세계 시장을 잠식할 것으로 우려하는 것이다.

    프랑스 등 유럽도 잠재적 반대파로 분류된다. 유럽은 보수적인 성향이 강한데 시험을 통한 검증자료를 제시해도 신소재의 내구성과 안전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상황이다. 정부가 산업 간 협력을 통해 극저온용 고망간강을 활용한 LNG 추진선 건조·운항을 지원하려는 것도 이런 우려를 불식하기 위함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고망간강 소재는 가격에서 비싼 니켈, 스테인리스의 20~30% 수준으로 경쟁력을 갖췄다"며 "연구 자료 등을 통해 내구성 등에 문제가 없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외국 업계와 선주의 우려가 여전하다"고 부연했다.

    이 때문에 정부는 임 사무총장의 막후 영향력에 내심 기대를 거는 눈치다. 임 사무총장이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순 없지만, 실무논의 단계를 거쳐 위원회에 안건이 상정될 때부터는 막후에서 반대파를 설득하거나 분위기를 만들어가는 데 힘을 보탤 수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임 사무총장이) 막후 조정을 통해 반대하는 회원국을 설득하거나 하다못해 분위기를 우리나라에 유리하게 끌고 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현재 일본이 반대하는 처지에서 직전 사무총장이 일본인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임 사무총장의 존재만으로도 최악의 상황은 피했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