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립 초기 수년간 적자에도 증자 참여 '0'지나친 경영간섭에 경쟁력 훼손 우려

  • 제주항공이 제주특별자치도의 과도한 제주도민 감싸기에 속앓이를 하고 있다. 제주콜센터 통폐합부터 운임료 인상까지 각종 경영정책을 내놓기만 하면 '도민'을 내세우며 발목을 잡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저가항공사(LCC)들의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정부의 사드보복 조치 일환인 한국여객금지령으로 중국인 관광객 수요마저 급락했다. 제주항공은 중국인 매출이 5.4% 수준으로 타 항공사들에 비해 적지만 이를 간과할 수 없는 것은 사실이다. 이렇다 보니 일본·동남아 노선으로 시선이 쏠려 치열한 경쟁을 피할 수 없게 됐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제주항공은 지난달 30일부터 국내 운임료 인상을 실시했다. 제주~김포 노선의 주말 요금을 종전 6만8000원에서 7만원(성수기 7만8000원에서 8만원)으로 올리고, 제주~대구 노선은 주말 6만4800원에서 7만2000원(성수기 7만9100원에서 8만3000원)으로 인상했다.

    제주항공이 이미 포화상태에 빠진 국내저가항공사(LCC) 시장에서 경쟁력 확보를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하지만 제주도는 제주항공의 경쟁력 강화보다 제주도민 살리기에만 혈안이 돼 있는 모습이다.

    제주도 측은 "중국의 한국여행금지령 등으로 제주도를 찾는 중국 관광객 수요가 줄어들 것이 우려돼 인상 시기를 늦춰달라"며 반대의사를 펼쳐왔다. 하지만 제주항공은 타 경쟁사들이 모두 인상안을 발표했고, 5년간 국내선 운임료를 동결한 상황에서 더 시기를 늦출 수 없다는 입장이다.

    제주항공과 제주도가 첨예한 대립각을 세우며 한 발도 물러서지 않는 상황에 놓이자, 제주도는 가처분 신청이라는 카드를 꺼내들었다. 지난 22일 제주도는 제주항공의 국내선 운임료 인상안에 대해 가처분 신청을 낸 상태다.

    제주도 관계자는 "제주항공의 출범 목적은 도민들의 교통수단 이용률 확대와 지역경제 활성화 등에 있다"며 "가처분 신청은 사업운영협약서에 명시된 6조1항 '사전협의'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아 절차상 진행한 것일 뿐 갈등을 일으키기 위한 것은 아니다. 제주도는 제주항공에 대해 애착이 많다"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제주도의 과도한 경영 간섭은 과거에도 지속된 바 있다. 제주항공은 제주콜센터를 서울과 통폐합해 효율성을 강화하려고 했다. 도내 인력들에게는 구조조정이 아닌 새로운 일자리와 거주지 마련 등 다양한 방안으로 피해를 최소화하려고 했다. 그럼에도 제주도는 제주항공을 '배신자'라고 칭하며 강한 비난을 퍼부었다.

    제주도는 제주항공 지분 7.6%를 보유한 2대 주주다. 2대주주의 경영 간섭은 당연할 수 있다. 문제는 기업의 가치 제고 측면이 아닌 도내 지역경제 활성화에 치중돼 있다는 것이다.

    제주도의 최근 지분률 변동 현황을 보면 지난 2005년 25%의 지분율은 지난해 7.6% 수준까지 떨어졌다. 제주항공은 지난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지속 적자를 내며 어려움을 겪었다. 당시 누적 적자만 780억원에 육박했다. 설립 이후 6년간 유상증자를 진행했지만 제주도는 단 한차례도 유상증자에 참여하지 않았다.

    제주항공은 수년간의 적자를 극복하고 현재 LCC업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7개의 국적항공사가 있으며, K에어 등 또 다른 신규 항공사들이 국내 항공기 시장에 들어올 준비를 하고 있다. 제주항공은 업계 1위 사수를 위해 신규 항공기 도입 등 각종 노력을 강구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제주항공의 시장지배력 강화는 2대주주인 제주도에게도 긍정적이다. 제주항공의 성장은 제주도에 마이너스가 아닌 플러스 요인이 된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제주도의 현재 행태를 보면 마치 제주항공을 도내 경제활성화를 위한 하나의 도구로만 생각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라는 의구심마저 들게 한다. 제주도는 코 앞의 일만 볼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어떤 것이 더 제주도에 도움이 되는 일인지 머리를 맞대고 객관적인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