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제약사 분석, 김영란법 시행 여파 등 접대비 감소

  • 상위제약사들이 지난해 접대비는 줄이고 판매촉진비(이하 판촉비)는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제약업계가 리베이트 근절을 위한 체질개선에 들어가면서 CP(Compliance Program, 공정거래 자율준수프로그램) 운영과 김영란법 시행으로 접대비는 줄인 대신 상대적으로 판촉비는 늘린 것이다.

    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5대 제약사 가운데 녹십자를 제외한 4곳의 판촉비가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증가폭이 눈에 띄는 곳은 한미약품으로, 전년 대비 22.5% 증가한 233억원을 지출했다. 이는 5대 제약사 가운데도 가장 높은 수치다. 반면 접대비는 14.7% 줄어 전년 21억원이었던 것이 17억원으로 감소했다. 

    대웅제약도 접대비를 줄이고 판촉비를 늘렸다. 대웅제약의 지난해 지출한 판촉비는 21억원으로 전년 대비 12.9% 증가했다. 이에 반해 접대비는 13.2% 감소하면서 10억원에 못미쳤다.

    유한양행과 종근당도 판촉비를 각각 9.7%씩 늘렸다. 유한양행은 한미약품에 이어 가장 많은 232억원을 지출했고 종근당은 202억원을 판촉비로 사용했다.

    접대비 감소의 가장 큰 원인으로 업계 관계자들은 김영란법 시행의 여파를 꼽는다.

    상위제약사 관계자는 "김영란법 시행 전후로 보건의료분야 첫 적발 사례가 되지 않기 위한 긴장감이 확산되면서 접대비를 줄이는 대신 판촉비나 광고선전비를 늘리는 방안으로 영업활동이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반면 리베이트 비용으로 오인 받을 수 있어 그간 지속적으로 감축해 왔던 판촉비는 오히려 더 증가했다.

    제약업계 자체적으로 리베이트 근절을 위한 CP운영을 하고 있어 판촉비가 리베이트 비용이라는 인식이 바뀌었고, 신약도입이나 신제품 출시 등으로 발생하는 판촉비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불필요한 접대비를 줄이는 대신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판촉비를 늘리는 것이 '클린 영업'의 기반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위기도 확산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제약사마다 자체 CP전담팀들이 리베이트 근절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환경에서 접대비는 줄이고 CP규정 내 인정하는 판촉비로 돌리는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