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추가 배치로 중국의 보복 더 강해지고 장기화될 전망현대기아차, 7월 판매 소폭 회복했지만 9월 다시 급감할 듯
  • 현대차의 창저우 5공장.ⓒ현대차
    ▲ 현대차의 창저우 5공장.ⓒ현대차

     

    사드 추가 배치로 중국의 보복이 더 거세질 전망이어서 국내 기업들의 시름이 커져 가고 있다. 단순한 판매 감소를 넘어 현지 인프라 자체가 붕괴될 상황에 놓였기 때문이다. 특히 소비자 이탈이 장기화되면서 판매 회복 가능성이 그만큼 낮아지고 있다는 점이 가장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기아차는 중국에서 사드 보복으로 올해 1~7월까지 판매량이 약 42만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일 성주에 사드를 추가 배치, 1개 포대를 온전히 구축함에 따라 중국의 보복이 강해지고 그 시기도 장기화될 것이란 점이다. 국내 기업들의 피해가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당장 현대기아차의 피해가 엄청나다.


    현대차는 올들어 7월까지 중국에서의 현지 판매가 40.8% 감소한 59만2785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4만1493대가 줄었다. 사드 보복이 본격화된 2분기(4~6월)에는 월평균 3만5000대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64% 가량까지 판매가 곤두박질쳤다.


    결국 현대차는 올해 중국 현지판매 목표를 당초 125만대에서 80만대로 하향 조정했다. 그나마 7월에는 소폭으로 중국 판매가 회복됐지만, 9월 판매는 다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아차도 상황은 비슷하다. 기아차는 올들어 7월까지 중국 현지에서 32만6595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4.2% 감소한 것으로 17만6923대가 줄어든 것이다. 즉, 현대기아차의 피해 규모는 41만8000여대에 이른다.


    현대기아차는 중국에 총 8개의 공장을 갖고 있다.


    현대차 공장은 5개로 베이징 1공장(30만대), 2공장(30만대), 3공장(45만대), 창저우 4공장(30만대), 충칭 5공장(30만대) 등 총 165만대 생산규모이다. 창저우 4공장은 지난해 가동됐고, 충칭 5공장은 올 8월부터 가동됐다.

    기아차는 중국에 3개의 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옌청 1공장(14만대), 2공장(30만대), 3공장(45만대) 등 총 89만대 생산규모를 갖췄다.


    모두 '베이징현대', '둥펑위에다기아'라는 중국과의 합작사 형태로 운영된다. 생산 및 판매는 현대기아차가 주도적으로 하고 있지만, 재무 관련해서는 중국의 입김이 크다. 이러한 구조적 문제로 최근에는 부품업체들의 공급 중단이 발생, 현대차 중국 공장이 멈춰서기도 했다.


    더 큰 문제는 중국의 사드 보복이 장기화되고 더 강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현대모비스를 포함한 현대기아차에 부품을 공급하는 업체들은 버티기 힘들 것이란 관측이다. 물론 외국계 부품업체들의 부품 공급중단 리스크도 더 커지는 셈이다. 인프라 자체가 붕괴된다는 측면에서 위기감이 더욱 팽배해지고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고객들의 이탈로 이어지고, 사드 문제가 해결되더라도 판매 회복을 장담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박사는 “작년부터 중국 소비자들의 부정적 기류가 형성됐고, 사드 문제가 불거지면서 6개월째 소비자 이탈이 이뤄지고 있다”며 “이런 헛점을 틈타 경쟁사들이 신차와 마케팅을 쏟아붓고 있어 당분간 중국 내 판매 회복은 힘들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이어 “현대기아차 협력업체들은 오래 버틸 수 없어 상황이 더 비관적이다”라고 덧붙였다.


    현대차그룹 못지않게 피해를 보고 있는 곳이 롯데그룹이다.


    롯데그룹은 정부에 성주 부지를 제공했다는 이유로 중국에 미운털이 박혔다. 3월부터 소방법 위반 등을 이유로 롯데마트에 영업정지를 내리면서 피해가 쌓여가고 있다.


    롯데마트는 중국에 총 112개(롯데슈펴 13개 포함)가 있다. 이 가운데 87개가 영업이 중단된 상태다. 74개는 강제로 영업이 정지됐고, 13개는 자율적으로 문을 닫았다. 그나마 영업을 하고 있는 12개도 매출이 70~80% 가량 급감해서 사실상 폐점과 다를 바 없는 상황이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손쓸 방법이 없다”며 “지금까지 중국 내 손실액은 대략적으로 5000억~6000억원으로 추정된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업계에서는 연말까지 1조원 가량의 손실을 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롯데마트는 최근 3억 달러(약 3600억원)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했다. 2.1억 달러는 올해 만기 도래하는 회사채 상환을 위한 용도이고, 나머지 0.9억 달러는 내년 초까지 인건비 등 회사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심지어 이마트는 중국 철수라는 극단적인 결정을 내렸다. 신세계그룹은 중국 내 남아있는이마트 6곳을 올해 안에 매각하기로 했다. 중국 진출 20년 만에 사업을 완전 철수하는 것이다. 정용진 부회장은 최근 누적적자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중국의 사드 보복까지 겹치면서 더 이상 사업성이 없다고 판단하고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


    이외에도 중국 당국의 '금한령'으로 단체관광객이 끊기면서 면세점, 화장품, 관광업계 등도 큰 위기를 맞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