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 금리를 동결하면서 오는 12월 인상설에 힘이 실리고 있다. ⓒ 뉴시스
    ▲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 금리를 동결하면서 오는 12월 인상설에 힘이 실리고 있다. ⓒ 뉴시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 금리를 동결하면서 오는 12월 인상설에 힘이 실리고 있다. 

한국은행 역시 올 하반기 들어 잇따라 금리 인상을 시사하면서 한미 양국의 동반 상승 기류까지 형성된 상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2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1.00~1.25%다.  

연준이 11월 기준 금리를 동결하면서 12월 인상 가능성이 유력해지는 모습이다. 연준은 물가 압력이 낮지만 미국의 노동시장이 강세를 보이는 등 경제지표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고 파악하고 있다. 

다만 변수는 차기 연준의 의장에 따라 미국의 통화정책 및 금리인상의 속도가 조정될 수 있다는 데 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 의장 지명권을 갖고 있다. 현재 제롬 파월 연준 이사, 존테일로 스탠퍼드 대 교수 등 여러 후보를 두고 고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만일 제롬 파월 연준이사가 선택될 경우 미 금리 인상은 점진적으로 이뤄지게 되고 존 테일러 교수가 임명되면 금리 변동성이 확대될 공산이 크다. 

한국은행의 연내 금리 인상 잣대는 내주 발표될 10월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에 달렸다는 평가가 많다. 

이주열 한은 총재가 금리인상을 강조했고 소수의견으로 이일형 금통위원도 힘을 보탰다. 그밖에 다른 금통위원들의 입장이 공개되면 11월 금리 인상 가능성과 향후 금리 인상 규모 지속성 등을 엿볼 수 있게 된다. 

한미 간 금리 역전 현상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모처럼 경제성장률 3%를 기대하며 경기가 활력을 찾은 상황에서 금리 역전으로 외국인투자자의 자금 이탈 등은 우리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31일 종합국감에서 금리인상과 관련해 "경기 외에 물가와 근우너물가도 함께 보고 내년 흐름이 중요해 여러가지 짚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