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 적자-대체 에너지원 감감-원가부담

  • 한국전력과 한국수력원자력 등 국내 대표적인 에너지 공기업이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따라 연이어 적자를 내면서 새 먹거리 사업으로 남북경협이 떠오르고 있다. 사진은 지난달 남북 정상회담의 모습.  ⓒ 남북공동사진단
    ▲ 한국전력과 한국수력원자력 등 국내 대표적인 에너지 공기업이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따라 연이어 적자를 내면서 새 먹거리 사업으로 남북경협이 떠오르고 있다. 사진은 지난달 남북 정상회담의 모습. ⓒ 남북공동사진단


한국전력과 한국수력원자력 등 국내 대표적인 에너지 공기업이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따라 연이어 적자를 내면서 새 먹거리 사업으로 남북경협이 떠오르고 있다.

정부는 내달 미북정상회담이 마무리되면 남북 간 경제협력을 총망라한 신 북방정책 로드맵을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전력·철도·가스는 3대 인프라 산업으로 손꼽힌다. 

남북 경협 초기 단계에는 에너지와 인프라 구축 등 핵심 산업을 위주로 투자가 집중되는 데다 동북아 슈퍼그리드 사업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면서 한전의 역할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 한전 2분기 연속 적자 늪… 영엽손실 1276억 

16일 한전 등에 따르면 한국전력은 지난해 4분기에 이어 올 1분기에도 적자를 냈다.한전은 올 1분기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1276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당기순손실은 2505억원이다. 한전은 지난 4분기에도 1294억원의 영업손실을 봤다. 한전이 2분기 연속 적자를 낸 것은 5년 반 만에 처음이다. 

한전이 어려움을 겪는데는 원전 가동률이 그 중심에 있다. 한전은 발전비용으로 올 1분기에만 10조3132억원을 썼는데 지난해 1분기와 비교했을 때 무려 2조1921억원이나 증가한 규모다. 전체 24기의 원전 중 가동되는 원전은 17기에 불과하다. 

  • 한전은 발전비용으로 올 1분기에만 10조3132억원을 썼는데 지난해 1분기와 비교했을 때 무려 2조1921억원이나 증가한 규모다. 고리 원전. ⓒ  한수원
    ▲ 한전은 발전비용으로 올 1분기에만 10조3132억원을 썼는데 지난해 1분기와 비교했을 때 무려 2조1921억원이나 증가한 규모다. 고리 원전. ⓒ 한수원



  •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 전까지만 해도 원전 가동률은 연간 80% 이상을 기록했다. 하지만 지난해 탈원전이 본격화되면서 원전가동률은 60%를 밑도는 수준까지 떨어졌다. 비교적 발전단가가 저렴한 원전 대신 LNG로 모자란 전력을 채우면서 발전비용은 눈에 띠게 치솟게 됐다. 


    ◇ 몽골-러시아-중국-남·북한-일본 전력망 잇는다

    정부는 미북 정상회담의 성공과 유엔의 대북제제 완화가 이뤄질 경우 적극적으로 남북경협에 나선다는 복안이다. 

    그 핵심 키워드로 동북아 에너지벨트인 슈퍼그리드 사업이 자리잡고 있다.

    에너지자원이 풍부한 몽골, 러시아에서 생산한 전력을 중국, 북한, 남한, 일본에 공급하는 사업으로 몽골 고비사막의 신재생에너지 잠재량은 연간 연간 1만5000TWh 규모로 한중일 3국의 전력소비량 보다 2배이상을 웃돈다.  

    지금껏 정부는 전력수급 안정 차원에서 국가간 전력망 연결의 필요성은 공감했으나 북한 리스크로 인해 사업 추진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했다. 

    한전은 중장기적 과제로 지난 2006년 러시아 정부와 전력에너지분야 협의각서 체결을 시작으로 슈퍼그리드 사업을 추진해왔다. 

    2016년에는 각각 일본 소프트뱅크, 러시아 로세티와 전력 협력을 강화하는 양해각서를 맺었다. 또 지난해에는 문재인 대통령의 방중에 발맞춰 중국국가전망(SGCC)와 한중 전력계통 연계 사업계발 합의각서를 체결했다. 



  • 슈퍼그리드 현실화를 위해서는 대용량의 전기를 장거리로 송출하는 고압직류송전(HVDC)기술이 필수적이다. 여기에 LS전선이 세계 최초로 HVDC 케이블에 대한 공인 인증을 받으면서 전력망 연결에 한층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한전 측은 "동북아 슈퍼그리드 사업을 오랜기간 준비해온 프로젝트"라면서 "북한이라는 육로가 열리면 효율적인 망구축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