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점입가경으로 치닫고 있다. 
    20일(현지시각) 미국 정부가 미중 무역전쟁에서 중국이 더 잃을 것이 많다며 정면대결 입장을 밝히자 중국 역시 끝까지 맞서겠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양국은 500억불 규모의 맞불 관세를 주고 받은데 이어 미국은 반덤핑 규제까지 강화하고 나섰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유럽연합(EU)는 22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보복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미국을 중심으로 한 무역전쟁이 다각화되는 양상이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현실화될 경우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경제적 타격은 막강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반도체의 경우, 세계무역기구(WTO) 주도하에 체결된 정보기술협정에 따라 1996년부터 지금까지 무관세가 유지돼 왔다. 4차산업 등의 영향으로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크게 늘어 반도체 호황을 맞은 상황에서 두 나라 간 무역전쟁으로 전체 수요가 감소할 수 있다는 비관적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미국 무역대표부는 오는 7월 6일부터 통상법 301조에 따라 1102개의 대중 제재 품목중 818개 품목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 반도체 등이 포함된 남은 284개 품목은 향후 논의를 거친 뒤에 결정하기로 했다. 

    미국 내에서는 중국이 한국에 가한 사드보복과 같은 관광 제한 조치를 취할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제임스 짐머맨 전 주중 미국 상공회의소 의장은 홍콩 차이나모닝포스트에 "중국은 은밀하면서 미국에 타격을 가할 여러 수단을 고려할 것인데 중국 기업과 소비자가 미국과 거래 관계를 끊거나 혹은 미국 제품 소비를 중단하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될 것"이라고 했다. 

    중국이 외교적 긴장관계에 있었던 우리나라에 자국 관광객의 여행을 제한하고, 중국 소비자들이 한국산 제품 불매운동을 벌여 경제적 타격을 입힌 것과 유사한 방식이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다. 

    실제 미국내 중국기업들은 미중 간 무역갈등이 심화되면서 이익금에 대한 재투자보다는 본국송금을 늘리고 있다. 

    중국상업연합회(CGCC)에 따르면 협회에 소속된 대부분 중국국적인 기업 중 75%가 이익의 전부나 대부분을 미국에 재투자했다고 밝혔다.지난해 조사의 87%보다 12%P 감소한 수준이다.

    컨설팅업체 로디움그룹 조사에서도 지난 5개월간 중국의 대미투자는 전년대비 92% 줄어든 18억달러에 머물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