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25만가구 입주… 비수도권 미분양 5만가구 육박"광역시 외 중소도시 리스크 가중… 핀셋대책 필요"
  • ▲ 자료사진. '대구 금호지구 스타힐스테이' 견본주택 내. ⓒ서희건설
    ▲ 자료사진. '대구 금호지구 스타힐스테이' 견본주택 내. ⓒ서희건설

    하반기 전국적으로 25만여 입주물량이 쏟아질 것으로 예고된 가운데 비수도권 지역의 미입주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일부 중소도시 경우 지역기반산업 붕괴로 인구이탈이 가속화되고 있는 만큼 이들을 대상으로 한 '핀셋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하반기에만 전국에서 25만여가구가 입주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올해 전체 입주주택 43만여가구의 60%에 육박하는 물량이다.

    이달 경기에만 2만977가구 등 3만여가구가 입주에 들어간 가운데 7월에도 2만7558가구가 입주 예정이다. 또 8월과 9월에도 각각 3만4865가구와 3만2476가구가 입주가 도래한다. 또 4분기에는 전국에서 10만가구 이상의 주택이 준공될 예정이다.

    문제는 이처럼 입주주택은 넘쳐나지만, 입주율이 떨어지고 있다는데 있다.

    특히 비수도권 지역의 미입주 리스크가 크다. 대부분 지방의 집값 하락세가 멈추지 않으면서 역전세난 우려가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실제 서울의 아파트 값은 상승률이 크게 확대된 지난 2월 이후 둔화세로 돌아섰지만, 지방은 3년째 하락 중이다. 올 들어 지방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은 1월 -0.17%에서 5월 -0.35%로 감소했다. 연도별 5월 누계 매매가 변동률 -1.08% 역시 최저치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연구실장은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서울 강남의 가격상승세를 둔화시키는 등 효과를 거뒀지만, 지방에서는 입주물량 증가와 가격 하락 등의 문제를 가져왔다"며 "올 하반기에도 재고 아파트 가격은 약세를 지속하고 매매거래량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경착륙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내다봤다.

    주산연 조사 결과 5월 지방 분양 아파트 단지의 입주율은 56.8%로 나타났다. 10곳 중 4채는 입주하지 못한 셈이다.

    주산연 측은 "세입자를 구하지 못했거나 기존 주택이 팔리지 않아 입주를 못 한 경우가 많다"며 "대출규제로 잔금을 구하지 못한 수분양자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영남권 입주율을 71.4%로, 지난달보다 4.7%p 하락했다. 주산연이 입주율 조사를 시작한 지난해 7월 이후 가장 낮았다. 호남권 역시 68.9%로 조사 이래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제주권 68.0%, 강원권 71.7%도 전국 평균 74.5%에 미치지 못했다. 충청권은 76.8%인 반면 수도권은 85.4%에 달했다.

    입주율은 입주지정기간이 만료된 분양 단지의 분양 가구 수에서 입주를 마쳤거나 잔금을 납부한 가구 수의 비중을 계산한 것이다.

    지방 아파트 미분양도 지속적으로 적체되고 있다.

    국토교통부 집계를 보면 4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아파트는 5만9585가구다. 이 중 82.6%인 4만9222가구가 지방에 몰려있다.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전국 1만2683가구로, 이 중 81.4%(1만326가구)가 지방에 있다.

    지방 미분양은 2015년 말 3만875가구에서 지난해 말 4만5463가구로 늘었고, 5월 중 5만가구를 넘어섰을 것으로 추정된다.

    전문가들은 지방 부동산시장 침체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고 지역마다 분양 리스크와 미입주 리스크가 다른 만큼 이를 고려한 지역공급 전략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허윤경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공급물량이 워낙 많은데다 규제 정책이 강화되고 일부 지역은 산업 기반이 붕괴되면서 벌어진 현상"이라며 "내년에도 지방 부동산 경기는 고전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고용 부진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오지윤 한국개발연구원(KDI) 부연구위원 역시 "그나마 비수도권이라도 광역시 정도는 버틸 수 있겠지만, 중소도시는 힘들 것"이라며 "중소도시는 인구이동도 심한 만큼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양극화가 더 커질 수 있어 이 부분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편, 주택경기가 좋았던 2015년 전후로 지방에서 '묻지마 분양'에 나섰던 건설사들도 부메랑을 피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특히 지방 입주물량이 많은 건설사는 애초 두 차례 하던 사전점검을 한 차례 더 진행하고 관련 조직도 늘리는 등 입주율 높이기에 매진하고 있다. 또 중도금과 잔금 관련 금융 상담서비스는 물론, 전세입자 유치 등 다양한 입주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중견건설 A사 관계자는 "아파트 분양가의 30~50%에 달하는 잔금이 입주시점에 들어오는데, 잔금이 제대로 회수되지 않으면 자금 흐름이 나빠지고 최악의 경우에는 부도가 날 수도 있다"며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입주물량이 몰리면서 리스크가 본격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만큼 이를 줄이는데 총력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