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가계소득동향 양극화 심화 주목언제까지 과거정권 탓? 새 정부 경제정책 몫
  • ▲ 문재인 대통령이 20일 수석 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 청와대
    ▲ 문재인 대통령이 20일 수석 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 청와대
    "정부의 고용정책이 충분하지 못한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취업자수 증가폭이 5천명에 그친 최악의 고용성적에 대해 정책 부실을 인정했다. 

    23일 발표되는 2분기 가계소득동향에서 소득양극화까지 악화한 수치가 나온다면 문재인정부의 경제 정책의 근본적인 변화는 불가피하다.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을 중심으로 한 경질 여론이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 靑 경제팀에 "결과에 직 걸어라" 경고

    문 대통령은 20일 오후 청와대에서 수석 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고용 상황이 개선되지 않고 오히려 악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마음이 매우 무겁다"고 했다. 

    특히 전일 당정청 회의서 고용쇼크 진단과 해법에 엇박자를 낸 청와대와 경제팀에 공개경고도 던졌다. 

    문 대통령은 "청와대와 정부의 경제팀 모두가 완벽한 팀웍으로 어려운 고용상황에 정부가 최선을 다한다는 믿음을 주고, 결과에 직을 건다는 결의로 임해달라"고 했다. 

    장하성 정책실장과 김동연 경제부총리는 고용쇼크 관련 진단, 해법에 다른 목소리를 냈다. 

    먼저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그간 추진한 경제정책의 효과를 되짚어보고 필요한 경우 개선, 수정하는 방향도 검토하겠다"고 했다. 또 "고용문제가 어려운 것은 구조-경제-정책 요인이 작용한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은 "정부를 믿고 조금만 기다려 달라"면서 "우리 정부의 소득주도 성장, 혁신성장, 공정경제 정책들이 효과를 내기 시작하면 우리 경제는 활력을 띠고,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고용 상황이 개선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했다. 

    여당 지도부의 뜻은 장 실장과 맞닿아있었다. 결과적으로 소득주도성장이라는 기존 방향은 그대로 고수하게 됐다. 

    취업자수 증가폭의 급격한 감소 등 얼어붙은 고용시장이 2년 연속 최저임금 10%대 인상, 근로시간 52시간 도입 등으로 인한 정책 부작용일 수 있다는 우려는 김 부총리의 우려에 그쳤다. 

    대신 당정청은 정부의 재정지출을 늘리는 방식으로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로 했다. 내년 예산에는 21조6천억원 이상이 일자리 사업에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 두 차례의 추가경정예산에 본예산까지 더해 3년간 일자리 예산은 76조원에 달한다. 

    일자리 예산의 효과가 미미한 데도 고용쇼크에 대한 원인 규명은 접어둔 채 또 돈만 쏟겠다는 방침이다. 
  • ▲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7월 고용동향'에서 지난달 취업자 증가폭이 5천명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고용 쇼크'가 이어진 1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긴급 당·정·청 회의에서 참석자들이 회의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원내수석부대표, 김동연 경제부총리, 홍영표 원내대표, 김태년 정책위의장,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한정애 국회 환노위 간사ⓒ 뉴시스
    ▲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7월 고용동향'에서 지난달 취업자 증가폭이 5천명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고용 쇼크'가 이어진 1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긴급 당·정·청 회의에서 참석자들이 회의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원내수석부대표, 김동연 경제부총리, 홍영표 원내대표, 김태년 정책위의장,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한정애 국회 환노위 간사ⓒ 뉴시스
    ◇ 양극화 심화 때 소득주도 성장 폐기해야 

    문 대통령이 경제팀에게 "'직(職)'을 걸어라"라고 경고한 것은 인적쇄신에 대한 예고이기도 하다. 

    2분기 가계동향 결과 소득분배 지표가 더 악화할 경우,소득주도성장 정책의 존재 이유가 사라지게 된다. 이 정책을 주도한 경제팀에 대한 교체도 불가피하다. 

    지난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는 참혹했다. 
    문재인 정부는 출범 이후, 일자리 및 저소득층 소득 증대를 위해 17조원 이상을 투입했다. 하지만 소득 하위 20%인 1분위와 20~40%인 2분위의 소득은 2003년 통계작성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쪼그라들었다. 

    양극화도 사상최대치였다. 소득 상위 20%의 소득을 하위 20%의 소득으로 나누는 5분위 배율은 5.95배에 달했다. 

    결과는 나와봐야 알겠지만 올 2분기 가계동향조사에서 저소득층의 소득이 늘었을 가능성은 높지 않다. 

    올해 1~7월 경기침체, 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임시·일용직 근로자가 줄어든 탓이다. 저소득층의 소득 증가는 정부의 재정 지원이 뒷받침됐을 때 가능한데 일자리 감소 폭이 높아 효과가 크지 않을 전망이다. 

    한 국책연구원 관계자는 "2분기 가계동향 결과서 양극화가 더 심해졌다면 과거 정부 탓을 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새 정부가 마련한 경제정책을 바탕으로 쓰인 예산안이 만들어낸 결과"라고 했다. 

    그러면서 "제조업·건설업을 중심으로 한 일자리가 흔들리는 상황에서 부동산시장 옥죄기로 일감이 사라졌고 최저임금 인상, 주 52시간제 도입 등 고용시장을 총체적으로 흔들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