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건설사 평균 벌점 '3.45점'… 업계 벌점 '절반' 차지'경미한 부실→대형사고 가능성'… "신뢰도 추락 따른 영업 제한 우려'
  • ▲ 시공능력평가 상위 30개사 2018년 상반기 평균벌점 및 벌점부과현장 현황. 벌점부과 현장이 없는 HDC현대산업개발, 호반건설주택, 아이에스동서, 삼성엔지니어링은 제외. 자료=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 ⓒ뉴데일리경제
    ▲ 시공능력평가 상위 30개사 2018년 상반기 평균벌점 및 벌점부과현장 현황. 벌점부과 현장이 없는 HDC현대산업개발, 호반건설주택, 아이에스동서, 삼성엔지니어링은 제외. 자료=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 ⓒ뉴데일리경제

    상반기 공공공사 벌점내역이 공개된 가운데 부영주택이 최다 적발 및 최대 벌점으로 '불명예 2관왕'에 올랐다.

    7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 분석 결과 부영주택은 올 상반기 동안 11곳의 사업지에서 평균 벌점 1.80점을 부과 받았다. 이는 시공능력평가 상위 30개 건설사 중 최다 적발 건수이자 최대 벌점이다.

    세부 벌점부과 내역을 보면 △경기 화성시 9점(4건) △경북 경주시 5점(3건)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2점(2건) △경남도 2점(2건) 등 18점을 부과 받았다. 상반기 30대 건설사 총 평균 벌점이 3.45점인 것을 감안하면 업계 벌점의 절반가량을 부영주택이 부과 받은 셈이다. 적발 사업지도 전체 38곳 중 3분의 1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평균벌점 기준 차순위는 삼성물산(0.54점)이 이름을 올렸다. 삼성물산은 서울 도시기반시설본부로부터 3.24점(2건), 서울 상수도사업본부로부터 0.5점(1건)을 각각 받았다.

    이어 쌍용건설·롯데건설 0.18점, 코오롱글로벌·현대엔지니어링 0.14점 등이 30개사 평균 0.13점을 상회했다.

    적발현장 수 기준으로는 삼성물산과 함께 롯데건설, 현대건설, 한신공영 등 4개사가 3건으로 2위에 랭크되면서 평균 2.37회를 웃돌았다.

    롯데건설은 국토교통부 서울지방국토관리청 2건(2.4점), 한국수자원공사 1건(0.6점)을 받았으며 현대건설은 한국철도시설공단 1건(1점), 한국가스공사 1건(0.9점), 대전도시공사 1건(0.27점) 등으로부터 부과 받았다. 한신공영은 수자원공사 1건(1.4점), 경북도 2건(0.3점) 등이다.

    부영주택은 또 4개 반기 평균 누계벌점으로도 30개사 최상단에 위치했다. 부영주택의 누계벌점은 1.07점으로, 30개사 중 유일하게 1점대를 기록했다. 30개사 평균 누계벌점은 0.21점에 불과하다.

    부영주택 외에 평균 누계벌점을 상회한 건설사는 △삼성물산 0.63점 △반도건설 0.51점 △계룡건설산업 0.38점 △쌍용건설 0.32점 △두산건설 0.27점 등이다.

    건설공사 벌점제도는 건설현장에서의 경미한 부실이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건설 관련 법령에 의해 영업정지 등 행정처분으로 이어지는 중대한 과실 외 경미한 부실공사 및 용역이 발생할 경우 해당업체 및 관련 기술자에게 벌점을 부과하는 것이다.

    국토부(지방국토관리청 포함)와 산하 공공기관, 발주청 등이 직접 발주한 50억원 이상 토목·건축(바닥면적 합계 1만㎡ 이상) 공사를 시공하거나 1억5000만원 이상의 건설기술용역을 진행한 건설사에 대해 현장점검을 실시해 문제가 있을 경우 벌점을 부과한다.

    주요 점검대상은 △토공사 부실, 콘크리트 균열이나 재료 분리 발생 △철근의 배근·조립 및 강구조의 조립·용접·시공 상태 불량 △배수상태와 방수 불량 △시공 상세도면 소홀 △가설시설물 설치 상태 불량 △현장 안전관리대책 소홀 등이다.

    일정 점수 이상 벌점이 누적된 건설사는 공공발주 건설공사 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PQ)에서 감점을 받거나 입찰참가자격 제한을 받게 된다.

    벌점을 부여한 발주처 기준으로는 경북도가 5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서울 도시기반시설본부·한국수자원공사·경기 화성시 등이 4건을 부과했다. 총 14개 발주처가 38건에 대해 적발한 것으로 집계됐다.

    업계 한 관계자는 "공공기관이 발주하는 사업에서 건설사의 벌점은 입찰 여부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며 "벌점이 많을수록 시공사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져 공공 부문에서 수주와 매출을 꾸준히 유지해야 하는 건설사 입장에서는 치명타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