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IMF 등 국내외 기관 모두 전망치 '줄하향'한국은행 올 경제 성장 3.0%에서 2.7%까지 낮춰경기 악화 뚜렷…무역전쟁, 투자·고용 부진 등 탓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국내외 기관 곳곳에서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잇달아 하향조정하며 비관적인 태도로 돌아섰다.

    이에 내년 한국경제는 올해보다 더 어두울 것으로 예상되면서 불안감이 엄습하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올해 총 4번의 경제전망 공표 중 2회 연속 2018년~2019년 경제성장률을 하향 전망했다. 

    한은은 애초 올해 성장률을 3.0%로 예상했다가 7월에 0.1%포인트 낮춘 뒤 석 달 만에 다시 0.2%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내년 성장률도 애초 2.9%로 전망했다가 7월에 이어 이달에도 0.1%포인트씩 낮췄다.

    한은의 전망(2.7%)대로라면 올해 성장률은 유럽 재정위기로 수출이 힘들었던 2012년(2.3%) 이후 최저 수준인 셈이다.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2015년과 2016년 2.8%를 기록했으며, 지난해 반도체 수출 호조세에 힘입어 3.1%를 기록한 바 있다. 

    이주열 총재는 전날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7월에 경제전망을 해봤고 이후 대내외 여건변화를 고려해 다시 한 번 수정했다"며 "이달 전망치는 2분기 실적이 반영돼 다소 하향했지만 잠재성장률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한은은 잠재성장률을 2.8%~2.9%로 발표한 상황이다.

    한은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기획재정부, 국제통화기금(IMF), 한국개발연구원(2.9%) 전망치보다 낮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는 같은 수준이다. 

    최근 IMF는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기존 3.0%에서 0.2%포인트 낮췄다. 내년 전망치도 2.9%에서 0.3%포인트 하향 전망했다. 

    OECD 역시 지난 5월 발표한 전망에서 올해 한국 경제가 3.0% 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내다봤으나 지난달 내놓은 중간 경제전망 보고서에서는 0.3%포인트 떨어진 2.7%로 예상했다.

    기획재정부도 지난해 12월 '2018년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성장률을 3.0%로 낙관했지만, 하반기 들어 성장세 둔화가 뚜렷해지자 7월(2.9%)에 낮춰잡았다. 올 연말에는 현 성장률을 내릴 수 있다는 것도 시사한 상태다.

    다수의 해외 투자은행(IB)도 전망치를 낮췄다. 골드만삭스는 올해 한국 성장률을 기존 2.9%에서 2.7%로 조정했다. UBS와 노무라도 기존 3.0% 전망치에서 각각 2.9%, 2.8%로 내려잡았다.

    한국경제연구원도 17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올해 성장률을 2.8%에서 2.7%로 낮췄다. 현대경제연구원, LG경제연구원 등은 내년 성장률을 올해보다 낮게 내다봤다. 
  • ▲ ⓒ한국은행
    ▲ ⓒ한국은행
    이처럼 국내외 주요 기관들이 우리나라 경제 성장에 대한 눈높이를 낮추는 것은 그만큼 대내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더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밖으로는 미·중 무역전쟁과 신흥국 불안이 지속하고 있으면서 안으로는 고용쇼크와 소비심리 위축, 부동산 침체 등으로 경기 둔화세가 뚜렷하다. 투자 위축도 예상보다 심각하다.

    한국은행은 올해 연간 설비투자 증가율을 기존 1.2%에서 -0.3%로 하향 전망했다. 올 하반기의 경우 -2.5%까지 떨어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건설투자 증가율도 공사물량 축소에 따른 조정 탓에 연간으로 0.5%에서 -2.3%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7월 전망치(-0.5%) 대비 역성장 폭이 커진 셈이다. 

    미·중 무역전쟁과 주요국 성장세 약화 등으로 내년 상품수출 증가율이 올해(3.5%)보다 다소 낮은 3.2%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 소비자물가상승률은 1.9%에서 1.7%로 낮췄다.

    특히 심각한 것은 고용상황이다. 취업자수 증가 규모가 뚝뚝 떨어지고 있다.

    올해 1월 30만명을 예상했던 증가 규모는 4월과 7월 각각 26만명 18만명으로 감소한 데 이어 이번엔 반토막(9만명) 났다. 

    한은은 내년 취업자수도 16만명 내외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7월 전망치보다 8만명 적은 수준이다.

    고용상황은 정부 일자리와 소득지원 정책 등에 힘입어 고용상황이 나아지겠으나 일부 업종의 업황 부진과 구조조정 영향으로 회복 속도는 더딜 것으로 보인다. 서비스업도 도소매·숙박음식업, 인력파견업 등을 중심으로 당분간 부진이 전망된다.

    현 시점에서는 고용상황이 개선되지 않는 이상 경제성장률의 반등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고용 부진은 가계 소득 부진→소비 감소→기업 이익 감소→투자·고용 감소→가계 소득 부진이라는 악순환으로 이어져 경제 타격이 크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