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지국 위치 보안 유지… 막바지 시범 운영 및 비전 선포 행사 준비 '착착'화재 등 통신장애 사태 '반면교사' 삼자… "5G 생태계 '확장-내실' 다져야"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이통사들이 내달 1일 일제히 첫 5G 전파를 송출할 예정인 가운데, 막바지 송출 준비에 여념이 없다. 기지국 시범 운영 등 막판 시스템 점검 및 5G 사업전략 발표회 준비에 한창이다.

    다만, 업계는 KT 통신 장애 사태를 거울삼아 서두른 5G 상용화보다 통신장애는 물론, 재난시 안정된 통신 커버리지를 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먼저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27일 관련 업계 따르면, 이통사들은 모바일 라우터(네트워크 중계장치·동글)를 이용한 5G 상용화 서비스에 나선다. 모바일 라우터는 휴대할 수 있는 무선인터넷 신호 발생장치를 말한다.

    전국망이 구축되기 전이라 서비스는 서울과 수도권 등 일부 지역에 국한될 전망이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일반 상용화는 5G폰이 나오는 내년 3월 이후가 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이통사들은 5G 전파를 송출할 기지국 위치를 대부분 보안에 붙이고 있으며, 송출 5일 전인 현재 매일 기지국 시범 운영 등 막판 시스템 점검에 나서고 있단 전언이다.

    또한 일부 이통사는 이번주 기자간담회를 열고, 5G 사업전략을 제시할 계획이다. SK텔레콤과 KT는 각각 28일과 29일 관련 행사를 개최하기로 했으나 KT 아현지사 통신구 화재사고로 본 행사를 취소했다. LG유플러스는 28일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통사들은 그동안 각사의 네트워크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5G 품질 최적화에 최선을 다했다.

    SK텔레콤은 품질 최적화를 위해 5G 3D 설계 솔루션 '5G T-EOS(Total Engineering and Optimization System)'를 자체 개발했다.

    '5G T-EOS'는 3D맵 기반 5G상용망 설치 높이, 각도에 따라 어떻게 전파가 고객에게 도달되고, 최적의 품질을 낼 수 있는지 실시간 분석한다. 프로그램 상에 기지국 위치를 지정하면, 주변 기지국과 연동해 커버리지 빈틈이 어디 있는지 알려준다. 본 솔루션에는 약 1000만개 건물 데이터베이스, 산악 지역이 많은 한국 지형 특성, 10년간 데이터 트래픽 변화 등 많은 빅데이터가 담겨있다.

    또한 SK텔레콤은 ▲유동 인구를 사전 예측하고, 상황에 맞게 통신 품질을 자동 최적화하는 '5G AI 네트워크' 기술 ▲건물 내부 중계 장비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용량을 LTE 대비 최대 16배까지 늘려주는 '5G 인빌딩 토탈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KT는 지난 2월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선보인 5G 시범 서비스를 바탕으로 5G SA(단독모드) 규격 기술까지도 개발했다.

    5G 국제 표준은 LTE와 장비를 일부 공유하는 5G NSA(Non-standalone : 5G-LTE복합)와 전체 네트워크를 오롯이 5G장비로 구성하는 5G SA(Standalone : 5G단독 규격)로 나뉜다. SA규격은 NSA규격보다 기술 개발이 어렵지만 향상된 서비스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양 규격간 기술 개발 속도는 약 1년 정도 차이가 난다.

    KT는 최근 'CUPS' 기술을 적용한 5G NSA(종속모드) 코어 장비를 구축했다. 'CUPS' 기술은 신호 처리를 담당하는 장치와 사용자 트래픽 처리를 담당하는 장치를 분리, 각각 독립적으로 구축하고 확장할 수 있는 표준 기술이다. 이에 따라 자율주행,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과 같은 고품질의 초저지연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에 구축한 코어 장비는 향후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만으로 5G SA(단독모드) 규격까지 수용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5G 기술보단 차별화 콘텐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U+프로야구' 'U+골프' 'U+아이돌 Live' 등이 그 주인공이다.

    본 콘텐츠들은 스포츠 중계 및 아이돌 가수의 영상을 다양한 각도로 즐길 수 있으며, 유플러스는 향후 이 같은 서비스들을 VR로서 확장할 예정이다.

    다만, 업계는 이통사들이 '세계 최초 상용화' 라는 수식어를 얻기 위해 힘을 쏟기보단 내실을 지향해야 한다는데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전파는 송출되지만 '상용화'라고 부를 수 있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업계 전반에 완연, 서두르지 말고 천천히 가자는데 업계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실제 업계에선 일반 소비자들이 사용할 수 없는데 상용화라고 부르는게 맞는가라는 의문이 일고 있다. 5G 스마트폰으로 시작하는 상용화가 아닌 만큼 관심도 떨어질 수밖에 없고, 모바일 라우터 단말기 수량도 적어, 5G 초기 서비스의 활용도가 지극히 떨아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와 발맞춰 얼마전 KT 통신 장애 사태를 거울삼아 재난시 안정된 5G 커버리지를 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선행되야 한다는 지적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5G 콘텐츠들이 명확치 않고, 소비자들이 체감할 속도도 그리 크지 않을 상황 속에서 '5G 최초' 수식어에 굳이 목멜 이유는 없어 보인다"며 "얼마전 일어난 KT 통신장애 사태를 반면교사 삼아 안정적 인프라 구축은 물론, 생태계 기반을 다지기 위한 투자가 먼저 선행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