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또 하락세… "해외수주 불확실성 높아"SOC예산에 GTX·GBC 등 민간까지… 건설투자 확대 전망6조원 규모 금융지원 패키지 마련… "해외사업 적극 지원"
  • ▲ 자료사진. 현대건설이 준공한 이란 사우스파 가스처리시설 4·5단계. ⓒ현대건설
    ▲ 자료사진. 현대건설이 준공한 이란 사우스파 가스처리시설 4·5단계. ⓒ현대건설
    건설업계가 해외 불확실성 지속과 국내 건설경기 침체 등으로 가시밭길이 예고되고 있다. 다만 정부가 건설산업 부양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는 점은 위안거리다. 이에 향후 정부차원의 건설투자 확대가 전망되고 있다.

    8일 오피넷에 따르면 전날 기준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배럴당 48달러를 기록했다. 2017년 말부터 반등하기 시작하면서 지난해 10월 배럴당 76달러까지 회복했지만, 중동 국가와 미국의 갈등이 진정 국면에 들어서면서 다시 하락세로 전환해 연말 40달러대로 추락한 것이다.

    이에 따라 건설사들의 해외수주 기대감도 한 풀 꺾이고 있는 모습이다. 해외수주가 중동 의존도가 높은 만큼 국제유가 등락에 좌우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해외건설협회 자료를 보면 WTI가 배럴당 100달러에 달했던 2014년 해외수주액은 660억달러에 달했지만, 2016년 배럴당 20달러대까지 고꾸라지면서 수주액도 281억달러에 그친 바 있다. 지난해 유가가 회복세를 보이면서 수주액 300억달러를 돌파했지만 다시 해외사업 부진에 대한 우려가 커진 것이다.

    대형건설 A사 관계자는 "중동 수주는 기본적으로 유가가 뒷받침돼야 한다"며 "통상 배럴당 60달러 이상은 돼야 하지만 현재 40달러대로 주저앉았고, 무엇보다 향후 유가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은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우려했다.

    해외건설협회는 지난해 말 '2019년 수주전망'을 통해 "대내외 수주여건이 녹록치 않아 내년에도 급격한 수주 증가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내 상황도 여의치 않다. 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국내 건설수주는 민간 부문 90조원, 공공 부문 45조원 등 총 135조원을 기록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홍일 건산연 연구위원은 "2017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건설수주 감소세가 이어지는 등 3년 호황이 종료된 데 이어 올해도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올해 수주는 2014년 107조원 이후 5년 내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부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건설정책연구원도 올해 국내 건설수주가 137조원에 그칠 것으로 판단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7.9% 줄어든 수치다.

    이처럼 건설업계가 국내외로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지만, 건설투자에 부정적이던 정부의 정책 기조가 변화하고 있다는 점은 반가운 소식이다.

    실제로 지난해 12월에만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C노선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GTX A노선·신안산선 사업시행자 지정 및 실시협약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통과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건립계획 수도권정비실무위원회 조건부 통과 등이 이뤄졌다.

    여기에 '2019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올 상반기 민간투자법 개정을 통해 도로·철도 등 53개 시설에 한정된 사업대상을 '포괄주의 방식'으로 전환해 모든 공공시설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또 공공투자 프로젝트의 예타 면제 지원사업을 확정하고 조기 사업착수를 추진한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신규 건설사업을 지속 발굴해 속도감 있게 추진하면서 안전한 인프라를 위한 유지보수 투자 확대, 생활형 SOC에 대한 투자를 병행해 건설산업의 활력 회복을 지원할 것"이라며 "R&D 투자 강화로 건설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촉진하면서 창의적 기업가 정신을 가로막는 규제는 과감히 걷어낼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라진성 키움증권 애널리스트는 "그동안 감축기조를 유지해 온 SOC예산이 증액됐고, 특히 민간투자사업보다 공공인프라사업을 우선시했던 정부가 모든 공공시설을 민자사업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전환한 점은 매우 의미가 있다"며 "향후 교통인프라 구축을 시작으로 주택, 상업시설, 생활SOC 등 정부 차원의 건설투자가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건설사의 해외진출 확대를 위한 금융지원 패키지도 마련된다. 국내시장 확대만으로는 건설산업이 재도약 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김현미 장관은 "중동을 벗어나 유가 변동과 관계없는 안정적인 진출시장을 확보하기 위해 고위급 인프라 포럼과 한-아세안, 한-유라시안 펀드를 조성해 신남방·신북방 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며 "해외사업을 지원할 총 3조원 규모 펀드 조성을 포함한 6조원 규모의 금융지원 패키지를 마련해 우리 기업이 다양한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틀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신북방과 신남방 펀드 조성에 우선 30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대형건설 B사 관계자는 "정부 정책이 규제일로에서 최근에는 건설경기를 살려야 한다는 기조로 전향되고 있다는 점은 고무적"이라며 "다만 수주산업의 특성상 당장의 성과로 도출되지 않기 때문에 긴 호흡을 가지고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