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F 회장, '다보스포럼 국제비즈니스위원회' 초청위원 자격 직접 초청화재 원인 밝혀지지 않았는데… 단순 '윽박지르기'식 출석 요구 우려
  • 지난해 다보스 포럼에 참석한 황창규 회장 모습ⓒKT
    ▲ 지난해 다보스 포럼에 참석한 황창규 회장 모습ⓒKT

    황창규 KT 회장이 오는 21일 다보스포럼에 참가할 예정인 가운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이하 과방위) 전체회의 출석을 요구받아 포럼 준비에 차질을 빚고 있는 모습이다.

    지난해 발생한 KT 아현지사 화재로 출석을 요구한 것인데, 아직 화재 원인도 밝혀지지 않아 향후 대책 방안도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국회의원들의 '윽박지르기'식 출석요구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업계는 국가정상 및 유력 비즈니스 리더들이 초청되는 행사에 한국 기업인으로는 최초로 황 회장이 초청된 만큼, 대승적 차원의 국가 산업 발전을 위해서라도 5G 등 4차 산업의 글로벌 주도권을 KT가 선점토록 이번 만큼은 과방위가 출석 의지를 굽혀야 한다는데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1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황 회장을 비롯한 KT 주요 임원은 오는 21~25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리는 '2019 세계경제포럼(WEF) 연차총회(다보스포럼)'에 참가한다.

    황 회장은 지난해 이어 2년 연속 참석이다. 특히 올해엔 지난해와 다르게 클라우스 슈바프 WEF 회장으로부터 다보스포럼 국제비즈니스위원회(IBC, International Business Council)에 초청위원 자격으로 직접 초청을 받았다.

    황 회장은 올해 포럼서 효율적 감염병 대응을 위한 '글로벌 감염병 확산방지 플랫폼(GEPP, Global Epidemic Prevention Platform)'의 1년간 성과를 설명하고, 상용화한 5G 관련 성과 및 향후 계획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최근 국회 과방위가 오는 16일 전체회의 첫 의사일정으로 지난해 발생한 KT 화재사고와 관련 황 회장의 출석을 요구, 포럼 준비에 제동이 걸렸다.

    일부 의원들은 국가 대소사 질의가 우선이며, 21일 포럼이 시작되니 16일 출석 후 남은 기간동안 포럼 준비를 해도 충분치 않느냐는 주장이다.

    그러나 재계 관계자들의 입장은 다르다.   

    다보스포럼 국제비즈니스위원회(IBC)는 다양한 분야의 최고위급 비즈니스 리더 100여명으로 구성되며, 국가 정상과 국제기구 수장도 초청돼 가장 영향력 있는 리더들이 교류하는 모임으로 평가받는다.

    때문에 관련 행사 준비를 보름 전부터 해도 모자를 뿐더러, 전체회의 출석이 잡히게 되면 관련 질의답변 준비를 위한 시간소요도 상당해 포럼 준비에 분명 차질을 빚을 것이란 분석이다.

    아울러 전체회의에 출석하게 될 경우, 16일 이후엔 스위스 이동시간 및 현지 사전 미팅 일정 등으로 포럼 준비 시간이 거의 없다는게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다보스 포럼의 경우 모든 리더들이 포럼 하루 전 혹은 이틀 전에 도착해 사업 교류 및 사전 미팅을 진행하는 것이 관례며, 스위스로 이동하는 시간만 거의 반나절(13시간 가량)이 걸린다는 설명이다.

    또한 '다보스' 라는 지역이 스위스 동쪽 끝쪽에 위치해 현지 공항에 내려서도 5시간 가량을 차로 추가 이동해야 한다.

    이에 따라 업계는 KT가 행사 참석 기업들과 현지에서의 활발한 교류로 글로벌 경쟁력을 끌어올릴 수 있도록 과방위가 조력자 역할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더욱이 화재 원인도 밝혀지지 않아 향후 대책 방안도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의 출석 요구는 황 회장을 몰아붙이기 위한 자리로 전락할 우려가 높다는 지적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화재 원인 규명이 되지 않은 상황 속 단순 군기잡기식 질의들을 쏟아낼까 우려된다"며 "과방위는 소모적인 논쟁만 되풀이하기 보단 거시적 측면에서 국가 산업 전체를 위한 방향으로 의사 결정을 해야한다"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KT 측은 "전체회의 참석여부는 미정이며, 관련 사안을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KT는 화재 소상공인 위로금 지급과 관련, 1월 3주차부터 정부 등과 협의체를 구성, 위로금 지급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위로금 접수 건수는 약 6800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