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률 2% 목표수준서 관리 위해 금리 동결 시사글로벌 무역분쟁, 美 통화정책 등 불확실성 주의 필요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1월 기준금리를 동결한 한국은행이 앞으로도 통화정책에 있어서 완화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14일 한국은행이 국회 제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 따르면 기준금리 운용과 관련해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통화정책을 운용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이 정한 물가안정목표는 소비자물가 상승률 기준 2.0%다. 즉, 물가상승 압력이 없다면 기준금리를 당분간 올리지 않겠단 뜻이다.

    목표치는 2.0%로 설정했지만 실제 전망치는 1%대 중반 수준을 유지할 것이란 예상이다.

    소비자물가는 임금상승 등 서비스가격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겠으나 수요측 물가 상승압력이 크지 않은 가운데 유가하락 등이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란 전망이다.

    기간별로는 올해 상반기 중 1.2%에서 하반기에는 유류세 및 개별소비세 인하가 종료되고 공공요금이 인상되면서 1.5%로 오름세가 확대될 것으로 한은 측은 예상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11월 기준금리를 연 1.50%에서 1.75%로 인상한 이후 그 효과 추이를 봐야 한다”며 “대외여건의 전개방향 및 그에 따른 성장, 물가의 흐름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판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변수는 글로벌 무역분쟁, 미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신흥시장국 금융·경제 상황, 지정학적 리스크 등이다.

    일단 우리나라 입장에선 미 연준의 금리인상을 멈출 것이란 전망이 불안감을 덜어낼 수 있는 요인이다.

    미 연준은 지난해 12월 정책금리를 0.25% 인상하며 2015년부터 인상기조를 이어갔지만 앞으로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가 다소 줄어들 수 있음을 시사했다.

    지난해 미국과 우리나라 간 금리차가 1%에 근접하면서 국내 금융시장은 요동쳤다.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면서 외국인자금 유출에 대한 우려가 높았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11월 기준금리를 인상했던 이유도 한미 금리 차이를 고려했던 결과다.

    단, 미 연준의 입장 변화는 미국 경제의 성장세가 예상보다 빠르게 둔화될 것이란 점에서 구내에 미치는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미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 조절이 미국의 경기둔화 우려를 배경으로 하고 있어 실제로 경기가 둔화될 경우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 조절에 따른 성장제고 효과는 상당부분 상쇄될 가능성도 있다”라며 “향후 미국 및 글로벌 금융·경제 전개상황과 미 연준의 정책 변화,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을 면밀히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2018년 10월에서 2019년 1월까지 기간 중 10개국은 금리를 인상했다.

    미국의 금리 변화가 신흥국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이에 대한 대응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칠레(2.50%→2.75%), 캐나다(1.50%→1.75%), 이스라엘(0.10%→0.25%), 아이슬란드(4.25%→4.50%), 스웨덴(-0.50% → -0.25%) 중앙은행은 견조한 경제성장세 및 물가상승률의 목표 수준 안착 등을 고려해 정책금리를 인상했다.

    남아공(6.50%→6.75%), 멕시코(7.75%→8.25%), 체코(1.50%→1.75%) 중앙은행은 자국 통화가치 하락에 따른 물가상승압력 증대에 대응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했으며 인도네시아(5.75%→6.00%) 중앙은행은 경상수지 적자폭 축소 및 국내 금융시장에 대한 투자 유인 유지 등을 위해 정책금리를 인상했다.

    러시아 중앙은행은 부가가치세 인상에 따른 물가상승압력 확대 전망으로 정책금리를 7.50%에서 7.75%로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