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E 대비 평균 1만5000원, 최대 3만원 상향 불가피시민단체, "게임, 스포츠 말고 4G와 차이 없다" 주장통신업계, 잠잠해진 '통신비 이슈' 또 다시 부활할까 노심초사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최근 '갤럭시S10' LTE 모델 개통 행사가 진행되며 추후 출시될 5G 모델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가운데, 이통사들이 '요금제'를 놓고 골머리를 앓고 있는 모습이다.

    5G 투자 비용에 따른 요금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지만, 4G와 속도차이를 느끼지 못한다는 국민여론과 부딪치며 '5G 요금 인상 불가' 움직임이 고개를 들고 있기 때문이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5G 요금제의 경우 LTE(4G) 대비 평균 1만5000원, 최대 3만원 가량이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5G 단말기 사양이 올라감에 따라 단말기 가격도 최소 20~30% 인상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이통사들의 그동안 5G에 대한 투자 비용 및 선택약정할인율 25% 선택 고객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함에 따라 추가적인 가격 인상도 불가피할 것이라는게 업계의 시각이다.

    공시지원금의 경우 제조사와 이통사가 공동으로 비용을 부담하지만, 선택약정할인제는 전적으로 이통사가 해당 비용을 모두 지원하는 구조였던 만큼 사업자들의 비용 부담이 더 커진다.

    이통사 CEO들 역시 지난달 스페인 바로셀로나에서 열린 'MWC 2019'에서 일제히 5G 요금 인상의 뜻을 내비치며, 적정한 요금제 인상을 약속했다.

    문제는 일부 시민단체와 국민 반응이 싸늘해 이통사 입장에선 요금 인상을 놓고 고민에 빠진 모습이다.

    일각에선 이통사들이 5G '킬러 콘텐츠'로 게임과 스포츠를 낙점, 5G 폰에서 관련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이를 즐기지 않는 고객들에게는 5G와 4G의 차이는 크게 의미가 없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게다가 정부의 통신시장 개입으로 통신비 인하 기조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5G 요금 인상 후 '통신비 이슈'가 또 다시 부각돼 부정적 여론이 다시 부활할까 노심초사다.

    실제 정부와 국회는 작년 보편요금제 도입 압박을 지속, 이통사들은 어쩔 수 없이 이에 상응하는 혜택들을 내놔 수천억원대의 수익 감소가 발생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겉으론 고객가치 제고를 위해 멤버십, 데이터 및 로밍 요금제 개편을 잇따라 진행해 왔지만, 정부의 요금인하 압박 명분을 위한 움직임으로 해석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5G 요금제 경우, 기본 데이터 제공량이 LTE 요금제 대비 2배가량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렇게 되면 가격이 1만5000원 정도 늘어도 데이터당 가격은 LTE보다 더 저렴해 진다. 하지만 일반 국민들은 일단 가격을 올렸다는 것 자체에 무조건적인 거부감을 표하고 있는 모습"이라고 아쉬워 했다.

    이어 그는 "일부 시민단체들을 중심으로 가격 인상 반대 움직임이 더 커질 것"이라며 "이통사가 과기부에 5G 요금제를 내놓기 위한 인가를 아직 신청하지 않은 만큼 새로운 서비스를 앞두고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