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분야 대폭 확대… 민간 실증사업 착수국토부, 경기 화성·제주 실증도시 선정
  • ▲ 드론.ⓒ국토부
    ▲ 드론.ⓒ국토부
    "100분 이상 날 수 있는 인공지능(AI) 탑재 스마트 드론(무인비행장치)을 만들어 세계시장을 선도한다."

    28일 국토교통부는 드론 상용화 촉진을 위한 기업대상 지정·자유공모 사업 참여업체를 발표했다. 이번 공모에는 기체 개발과 활용 실증 8개 분야에 55개 업체가 지원했고 심사를 거쳐 총 10개 업체가 선정됐다.

    눈길을 끄는 사업분야는 △차세대 동력원 활용 △AI 기반 객체 인식 △드론 낙하산 개발 등이다.

    먼저 차세대동력원 분야는 수소연료전지를 탑재해 드론 비행시간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게 과제다. ㈜자이언트드론이 가톨릭관동대와 손잡고 추진한다. 현재 리튬이온배터리를 동력원으로 하는 드론은 비행시간이 고작 20~30분에 불과하다. 최대한 짜내야 30~40분 비행이 한계다. 해당 사업은 수소연료전지를 탑재해 100분 이상 비행하는 게 목표다. 강현우 항공안전기술원 드론안전본부 선임연구원은 "수소연료전지를 장착한 드론이 4시간 비행에 성공한 사례도 있지만, 드론 활용에 필요한 장비를 빼고 단순히 전지만 탑재한 경우"라며 "이번 과제는 산불감지 등에 필요한 장비들을 장착한 상태에서 100분 이상 비행하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다.

    수소연료전지는 인화 폭발성이 있는 액체수소를 용기에 안전하게 담으면서 무게를 최대한 줄이는 게 관건이다. 장착했을 때 눈에 거슬리지 않는 디자인 개발도 숙제다.
    수소연료전지 실증은 비행시간 연장과 직결되므로 드론 상용화를 위한 필수과제로 꼽힌다.
  • ▲ AI 기반 객체 인식 기술.ⓒ국토부
    ▲ AI 기반 객체 인식 기술.ⓒ국토부
    AI에 기반을 둔 객체 인식 기술은 드론 활용 범위를 확장하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인스페이스가 참여하며 드론 영상을 활용해 재선충병 감염이 의심되는 나무를 탐지하는 기술을 개발·실증하게 된다. 강 선임연구원은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기반을 둔 드론이 물체의 모양이나 색깔 등이 달라지면 이를 감지하고 알리는 게 기술의 핵심"이라며 "드론 기술과 소프트웨어 기술을 접목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 기술이 실증되면 드론을 응용하는 스펙트럼이 넓어진다. 가령 송유관에 구멍을 뚫어 석유를 빼돌리는 절도 행위도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드론이 순찰 중 지형지물의 변화를 감지해 이를 관제센터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단속이 이뤄진다. 사람이 차로 수백 ㎞를 이동하며 배관망을 관리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시범사업처럼 재선충병 확산 예방에도 활용하는 등 응용분야가 넓어진다.

    ㈜헥사팩토리가 참여하는 지능형 자동제어 드론 낙하산 개발도 도전적인 과제로 눈길을 끈다. 드론이 비행 중 기체 이상이나 고도가 떨어져 추락하게 되면 기체 손상은 물론 사람이나 가축, 시설물 등에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드론은 구조상 프로펠러가 위쪽에 있어 낙하산이 펴지면 서로 간섭이 발생한다. 강 선임연구원은 "사업용 드론은 무게가 10~20㎏에 달해 추락하면 피해가 커질 수 있지만, 프로펠러와의 간섭으로 인해 그동안 낙하산 장착이 의무가 아니었다"며 "이번 과제는 프로펠러 위치 조정 등을 통해 낙하산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강 선임연구원은 "차세대동력원이나 AI 기반 객체 인식 기술은 실증에 성공하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드론 사업모델 구현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국토부는 이날 경기 화성시와 제주도를 드론 실증도시로 선정했다. 경기도는 대규모 상업시설이 들어선 화성 향남2지구에서 드론을 띄워 불법 주정차를 계도·단속하고 제조업체 밀집지역에서 불법 폐기물이나 대기질 감시활동을 벌인다는 구상이다. 제주도는 제주영어교육도시 내 하굣길 안심 서비스와 범죄 취약지역 순찰, 소나무 재선충 모니터링 등에 드론을 활용할 계획이다.
  • ▲ 드론 활용 미세먼지 측정.ⓒ국토부
    ▲ 드론 활용 미세먼지 측정.ⓒ국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