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복지부, AI 활용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나서신약개발 기간 및 비용 단축 기대
  • 정부가 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약개발을 위해 향후 3년간 258억원을 투입한다. 인공지능을 활용해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단축해 국가 신약개발 역량을 끌어올리겠다는 복안이다. 

    1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와 공동으로 인공지능·신약 개발 전문가로 이뤄진 6개 연구팀과 운영관리기관을 구성할 계획이다. 해당 연구팀은 기술개발의 효과가 좋을 것으로 판단되는 ▲후보물질 발굴 ▲신약 재창출 ▲스마트 약물감시 3개 분야를 선도적으로 개발할 방침이다.

    의약품 분야는 1200조원의 거대시장으로, 블록버스터 신약의 경우 연매출 1조원 이상의 매출을 창출할 수 있는 유망 분야로 꼽힌다. 그간 신약개발을 위해서는 막대한 R&D비용(1조원 이상)과 15년에 달하는 긴 기간이 필요해 국내 제약사에게는 진입장벽으로 작용해 왔다.

    이에 정부는 R&D를 통해 축적된 연구데이터 및 병원 진료정보 등의 우수한 의료데이터를 인공지능에 활용해 나가겠다는 구상이다. 신약 개발의 첫 단계인 '신약 후보물질의 발굴'을 위해서는 주식회사 아론티어, 중앙대학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화여자대학교 4개팀이 우선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아론티어는 서울 아산병원 유전체 데이터, 간(肝) 오가노이드 실험 데이터 활용해 폐암·뇌암 등 치료제 개발 플랫폼을 개발한다. 중앙대는 한국화학연구원의 화합물 데이터를 바탕으로 질병 치료의 단서가 되는 단백질을 예측, 퇴행성 뇌질환에 특화된 플랫폼 개발을 수행할 예정이다.

    대구경북첨복재단은 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의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모델을 만들고, 유한양행의 주요 제약사의 화합물 데이터를 활용해 표적 항암제 개발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다. 이화여대는 항암제, 섬유화 치료제를 연구하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슈퍼컴퓨팅 인프라를 활용한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미 개발된 의약품을 활용한 신약 개발 방법인 '신약 재창출'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된다. 한국과학기술원 연구팀은 기존의 약물 작용기전을 모사한 딥러닝 모델을 개발하고, 실험 검증 등을 통해 플랫폼을 발전시킬 계획이다.

    의약품의 시판후에 이뤄졌던 기존의 사후적·수동적 약물 감시체계도 보완된다. 서울 아산병원은 면역항암제 빅데이터를 집중 학습해 약물 이상 반응의 조기 예측과 신속 대처를 위한 '약물 감시 지원 시스템'을 구축한다.

    아울러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은 빅데이터 확보·관리, 민간 공개를 위한 시스템 구축·운영을 수행해 6개의 연구과제를 지원·관리할 방침이다.

    정부는 해당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신약개발 기간을 최대 절반(15년 → 7~8년)까지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개발된 플랫폼은 연구자·기업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할 예정이다.

    고서곤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향후 몇 년이 우리에게는 신약개발 분야의 새로운 도약의 시기가 될 것"이라며 "신약개발과 인공지능의 융합을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