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 공장만 최소한 운영… 삼성·LG·현대차 등 일제 ‘재택근무’봉쇄령 강화 ‘노심초사’, 경제·소비 제한에 사업 타격 불가피코로나 재유행 국면 속 ‘선제 귀국’ 조치 등 발동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인도에서 코로나19 상황이 최악의 국면으로 치달으면서 현지에 진출한 한국 기업이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현재 생산 공장만 최소한으로 돌리고 있으며, 봉쇄령 강화 등 조치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9일 업계와 코트라에 따르면 인도에 진출한 한국기업은 약 700곳으로 봉쇄 정책에 따라 제한적으로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기업들이 포진한 뉴델리, 첸나이, 뭄바이 등 도시가 있는 주들은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한 4월 말부터 봉쇄령을 시행 중이다. 봉쇄령이 내려진 상태에서는 일부 필수 서비스를 제외하고는 통행이 금지된다.

    지난해 3월 코로나19 초창기 당시에는 주요 기업들의 공장 가동도 두 달여 간 중단됐었지만, 이번 재유행 국면에서 공장은 멈추지 않고 제한적으로 돌아가고 있다.

    현지 한국 기업들은 공장 가동을 위한 최소 인력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재택근무로 전환됐으며, 일부 주재원들의 가족은 한국으로 귀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먼저 삼성전자는 인도 내 노이다 스마트폰 공장과 첸나이 가전 공장을 가동하고 있는데, 직원들은 재택근무로 전환했다. 주재원 가족들의 귀국도 지원하고 있다.

    노이다 지역에 중소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모듈 공장을 운영하는 삼성디스플레이는 현재 공장 가동에는 문제가 없으나, 직원들의 안전을 고려해 출장자·주재원 가족·협력사 직원 등 200여명의 선제 귀국을 지원하고 있다.

    LG전자는 노이다와 푸네 소재 공장의 생산 계획을 기존보다 축소해서 운영하고 있다. LG전자도 필수 인력을 제외하고는 재택근무 중이다. 

    현대차도 델리 등 봉쇄령이 내려진 주에서 근무 중인 주재원들을 재택근무로 전환하고 첸나이 공장의 주말 특근을 중단했다. 주중에는 공장이 정상 가동 중이다. 

    포스코는 인도법인 사무실 근무자 전원은 재택근무를 시행하고, 포스코마하라슈트라 생산 공장은 50% 인력으로 조업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대다수의 한국 기업들의 공장은 돌아가고 있으며 재택근무를 하며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며 “철수나 대피 등 가시적인 움직임은 없으나 상황이 더욱 악화하면 공장까지 셧다운 될 수 있어 노심초사”라고 밝혔다.

    특히 코로나19 재유행 사태가 장기화하면 사업에 실질적으로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중국 샤오미에 이어 인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2위인 삼성전자의 경우 스마트폰 수요 급감의 영향권에 들어 있다. 업계에 따르면 1분기 인도 스마트폰 출하량은 코로나19 보복 소비 영향으로 전년보다 23% 증가했다.

    현대차는 신차 출시 준비 등을 위해 한국에서 수십명의 직원들을 인도로 출장 보내려 했지만, 코로나 재확산으로 일정을 정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해외 주요 시장 중 인도에서만 유일하게 성장했으나, 코로나 영향으로 지난달 판매량은 전달보다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