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경제회복 기대감에 국채금리↑, 시장금리 인상 견인한은 4월 인플레이션 2.1%로, 기준점 2% 넘어서 대출금리 1% 오를때 가계 이자부담 12조원 늘어
  •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에 따라 한국은행이 연내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미국 경기 회복 기대감으로 시장금리가 대폭 상승한 가운데 우리나라 국고채, 은행채 등의 금리도 일제히 상승세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0.5%)는 여전히 제로금리를 가리키고 있으나 시중은행의 평균 대출금리는 3%대에 달한다. 금리상승으로 인한 빚투, 영끌족들은 직격탄을 맞게 됐다. 

    10일 한국은행의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에 따르면 물가와 자산간 금융불균형에 대한 우려가 적지 않다. 한 금통위원은 "1분기 금융권 가계대출이 정부의 강도 높은 규제에도 큰 폭으로 증가, 금융 불균형에 대한 우려가 증가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금통위원 역시 "경제 회복세가 뚜렷해진다면 금융안정에 더 무게를 둔 통화정책 운영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코로나19 위기 극복차원에서 풀린 대규모 유동성이 주식·암호화폐 등 특정 금융시장으로 쏠림 현상이 강하자 금리인상을 통한 브레이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또 실물경제 회복이 급물살을 탄 데다 물가 상승 압력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도 짙어지는 형국이다. 

    지난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한은의 목표치인 2%를 웃도는 2.3%를 기록해 3년8개월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정부는 물가 상승이 일시적 요인이라는 입장이나 물가상승이 계속될 경우, 금리상승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최근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은 "경제 과열을 막기 위해 금리를 일부 올려야 할 수 있다"고 밝히면서 미국발 금리인상론에 불을 지폈다. 지금껏 연방준비제도(Fed)가 완화적 통화기조 속에 제로금리를 유지해온 태도와는 상반된 입장이다. 시장에선 정책변화의 '시그널'로 보고 있다. 

    다만 한국은행의 금리인상이 가계대출의 뇌관으로 작용할 있다는 점은 큰 부담이다.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지난달 가계대출 잔액은 690조9000억원에 달한다. 한달새 9조2000억원이 증가한 규모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가계대출규모가 1600조원에 달하는 상황서 대출 금리가 1% 오르면 11조8000억원의 이자부담이 증가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시장금리와 기준금리 간의 괴리가 장기화될 경우 인플레 압박이 더 커질 수 있다"면서 "금리 급등으로 인한 금융리스크 완화 장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