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서 '추가 상생안 마련' 약속5년간 3000억 상생기금 배분도 확정 못해골목상권 철수 한다더니... 제로페이 시장 진출도12월에만 3곳 업체 추가 인수, 문어발식 확장 비판도
  • "초심으로 돌아가는 노력을 뼈를 깎는 심정으로 하겠다. 추가 상생안을 마련해 이행하겠다."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이 지난 10월 국정감사에서 밝힌 얘기다. 문어발식 확장에 따른 골목상권 침해 논란에 대한 해명이었다.

    김 의장은 국정감사에 세 차례나 불려가면서 국민들에게 '상생'을 거듭 약속했다. 이를 위해 ▲골목상권 논란 사업 철수 및 혁신 사업 중심으로 재편 ▲파트너 지원 확대를 위한 기금 5년간 3000억원 조성 ▲케이큐브홀딩스 사회적 가치 창출 집중 등을 골자로 한 상생안을 발표했다.

    김 의장은 카카오 주요 계열사 대표들과 해당 상생안에 대한 세부 계획안을 이른 시일 내 마련하겠다는 점을 강조했다. 금세 윤곽을 드러낼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카카오 상생안의 구체적인 로드맵은 결국 올해를 넘기게 됐다.

    이에 업계에서는 김 의장이 국정감사를 모면하기 위한 '소나기 피하기'식 방안에 불과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우선 급한 불은 끄고 보자는 면피용 대처였다는 비판이다.

    가장 이목을 끌었던 상생기금 운용 방안의 경우 카카오 계열사 간 상생기금 배분 등을 확정하지 못한 상태로 파악됐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설치, 운영하기로 한 상생협력자문위원회도 뚜렷한 방안을 내놓은 게 없다. 그러는 사이에 택시·대리 운전 업계와 갈등의 골은 깊어지고 있다.  

    골목상권 논란 사업을 접겠다는 약속도 지켜지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카카오가 참여한 신한컨소시엄이 서울시에서 발행되는 서울사랑상품권 위탁판매사업권을 따냈기 때문이다. 소상공인 사업으로 꼽히는 제로페이 시장에도 진출한 것이다.

    혁신 사업 중심의 재편이라는 포장으로 문어발식 확장도 여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카카오는 12월 들어서만 3개 업체(우시아월드, GS파크24, 그립)를 추가로 인수했다. 이 가운데 주차장 서비스 GS파크24와 라이브커머스 서비스 그립 인수는 혁신사업 진출로 보기 어렵다는 해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카카오 상생안은 업계와 소통이 이뤄지지 않은 '일방통행식' 상생안에 불과하다"며 "김 의장이 약속한 구체적인 상생안을 조속히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