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지원종료시 한계기업 중심으로 리스크 발생 우려은행 대출전략 수정, 건전성 관리‧대출심사 고도화 집중우량中企‧순환경제 기여 우수기업에 대출 사전한도 부여
  • ▲ ⓒ뉴데일리
    ▲ ⓒ뉴데일리
    빚으로 버틴 지난해를 뒤로하고 올해는 단계적 금리정상화와 코로나19 금융지원 종료를 목전에 두고 있다. 은행권은 코로나 영향이 이제 시작이라는 반응이 지배적이다. 

    금융권 수장들은 올해 신년사 키워드로 가계부채 급증과 금융지원 종료에 따른 리스크 우려,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을 공통적으로 꼽으며 대안 마련에 분주하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은행의 금리상승이 예고되면서 가계, 기업의 건전성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지적이 거세지고 있다. 

    한국금융연구원은 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전체 차주의 9.6%, 취약 차주의 11.7%, 자영업자 차주의 14.4%가 소득의 5% 이상을 추가적인 이자비용으로 지출해야 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기업차주 중 영업이익으로 대출이자조차 감당 못하는 ICR(이자보상배율) 1 미만 비중은 4%포인트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기업의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이면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낼 수조차 없다는 것으로 잠재적 부실기업이란 의미다. 

    전문가들은 금리인상기에 취약계층의 금리부담이 올라 소비가 위축되고 금융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여기에 지난해 4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기업대출 만기연장과 이자상환유예 조치는 3차례 연장을 거쳐 오는 3월 종료 예정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코로나 펜데믹이 여전히 진행 중이고 기업의 경영환경이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기때문에 금융지원 종료에 따라 미뤄진 리스크가 한계기업을 중심으로 발현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계대출의 증가는 사회적으로 차주의 소득이 많이 늘지 않는 한 내수 침체와 자발적인 디레버리징(대출상환)으로 이어져 장기적인 경기침체를 불러오고 내수 위주 기업은 경영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 ESG 광풍이 겹치면서 은행들은 선제적인 자산건전성 관리와 여신프로세스의 고도화, ESG 금융지원 강화를 통한 여신전략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코로나 이후 리스크가 크게 증가한 업종과 유동성과 수익성이 악화되거나 매출이 급격히 줄어든 잠재리스크 보유차주 등을 선정해 집중관리하는 식이다. 우량자산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도 치열하다.  

    손형주 우리은행 여신정책부 부장은 “올해 우량자산 중심의 자산증대를 위해 외감기업과 우량 중소기업위주로 사전한도를 부여해 여신 마케팅에 적극 활용하도록 지원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가계부채에 대해서는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방안에 따라 상환능력에 기반을 둔 DSR 심사체계를 공고히 하고, 고위험 다중채무자와 저신용자 가계대출은 연착륙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신용평가모형 고도화하는 등 대출심사 절차를 진화시켜 신시장을 개척해 나갈 것”이라며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녹색분류체계 관련 자문과 컨설팅을 실시하고, 순환경제에 기여하는 우수기업을 선별해 대출 사전한도를 부여하는 등 ESG금융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