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작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발표1인·농림어가 포함시 0.07배p 개선…기존시 0.10배p 악화소득 6.4%↑, 10년만에 최대폭…경기회복속도·거리두기 영향물가상승 고려 실질소득 2.8% 증가 그쳐…소비성향 역대 최저
  • ▲ 빈부 격차.ⓒ연합뉴스
    ▲ 빈부 격차.ⓒ연합뉴스
    예상보다 빠른 경기 회복에 지난해 4분기 가구당 소득이 1년 전보다 6% 넘게 늘면서 10년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범유행)으로 2020년 근로·사업소득 등이 감소한 기저효과에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소비자물가가 치솟으면서 실질소득은 2.8% 증가하는 데 그쳤다.

    빈부격차는 두 분기 연속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통계방식을 바꾸기 전인 2인 이상 비농림어가를 대상으로 하면 빈부 격차는 더 벌어졌다.

    24일 통계청이 내놓은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4분기 전국 1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464만2000원으로 조사됐다. 1년 전보다 6.4% 증가했다. 4분기만 놓고 비교했을 때 2011년 4분기(7.2%) 이후 10년 만에 증가폭이 가장 크다. 앞선 2분기에 4년 만에 처음으로 가계 소득이 줄고 3분기에 역대 최대 증가폭(8.0%)으로 반등한 데 이어 증가세를 보였다.

    통계청은 지난해부터 1인 가구와 농림어가 통계를 추가로 포함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재정을 투입해 만든 노인일자리사업 등이 영향을 미치는 60세 이상 1인 가구의 근로소득이 통계에 추가로 잡혔다. 종전대로 농림어가를 제외한 2인 이상 가구의 지난해 4분기 소득은 552만2000원으로 1년 전보다 7.0% 올랐다. 농림어가 등 1인 노인가구를 포함한 소득이 되레 줄었다는 얘기다.

    앞선 3분기의 경우 전국 1인 이상 가구 월평균 소득은 472만9000원이다. 1년 전보다 8.0% 증가했다. 종전대로 2인 이상 가구의 소득 증가율은 7.6%였다. 재정일자리사업 대상을 통계에 포함하면서 소득 증가율이 더 높아졌다. 이는 4분기의 경우 관제일자리사업 예산이 소진되면서 전체 통계에는 마이너스(-) 효과를 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소득 유형별로 보면 전체 소득 가운데 62.3%로 비중이 가장 큰 근로소득(289만3000원)은 1년 전보다 5.6% 늘었다. 자영업자 등이 벌어들이는 사업소득(101만8000원)은 8.6% 증가했다. 사업소득은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과 거리두기 완화의 영향으로 2009년 4분기(10.6%) 이후 12년 만에 가장 크게 늘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2020년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각각 0.5%, 5.1% 감소하며 4분기 통계로는 2003년 이후 최대 폭의 감소를 기록한 기저효과도 한몫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전소득(60만2000원)도 3.9% 늘었다. 정부가 지급하는 공적이전소득이 10.7% 증가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물가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물가 상승분을 고려한 실질소득은 2.8% 증가하는 데 그쳤다.

    고물가 여파로 가계 지출도 큰 폭으로 늘었다. 지난해 연간 월평균 소비지출은 249만5000원으로 3.9% 증가했다. 4분기만 보면 340만6000원으로 1년 전보다 5.5% 증가했다. 물가 변동의 영향을 제거한 연간 실질 소비지출은 1.4% 증가에 그쳤다. 식료품·비주류 음료(-1.6%), 교통(-6.6%)은 물가 상승분을 고려하면 오히려 감소했다. 밥상 물가 부담이 커지면서 가계가 허리띠를 졸라맸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4분기 처분가능소득(실질소득)은 378만3000원으로 1년 전보다 6.8%, 흑자액은 123만6000원으로 9.0% 각각 증가했다. 그러나 실질소득에서 소비지출 비중을 따지는 평균소비성향은 1년 전보다 0.7%포인트(p) 내린 67.3%로 나타났다. 100만원을 벌어 67만3000원을 썼다는 뜻이다. 4분기 기준으로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다.

    소득세·재산세 등 정기적으로 내는 세금을 뜻하는 경상조세는 지난해 4분기 18.8% 늘었다. 사회보험료 지출도 10.3% 증가했다.
  • ▲ 분기별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통계청
    ▲ 분기별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통계청
    지난해 4분기 빈부 격차는 1년 전보다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불균형 지표로 불리는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71배로, 1년 전보다 0.07배p 내려갔다. 이 지표는 실질소득을 가구원 수로 나눠 1분위와 5분위를 비교한 것이다. 수치가 내리면 그만큼 소득격차가 줄었다는 얘기다.  국민 지원금을 주었던 3분기(5.34배)와 비교하면 악화했다.

    종전 통계대로 1인·농림어가를 제외한 균등화 배율은 4.91배로, 1년 전보다 0.10배 악화했다.

    한편 정부지원금 등 공적이전소득을 뺀 시장소득 5분위 배율은 11.70배로 1년 전보다 0.15배 개선됐다. 통계청은 이번에는 2인 이상 비농림어가의 시장소득과 비교한 5분위 배율은 따로 산출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