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안 '1만890원 vs 9160원'… 노사 입장 팽팽 경영계 "기업 생존과 일자리 위해 최저임금 동결" 호소최임위, 28일 7차 회의서 수준 본격 심의
  • ▲ 지난 23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최저임금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제6차 전원회의에서 사용자위원인 류기정(왼쪽) 한국경영자총협회 전무와 근로자위원인 이동호 한국노총 사무총장이 인사한 뒤 돌아서고 있다. ⓒ연합뉴스
    ▲ 지난 23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최저임금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제6차 전원회의에서 사용자위원인 류기정(왼쪽) 한국경영자총협회 전무와 근로자위원인 이동호 한국노총 사무총장이 인사한 뒤 돌아서고 있다. ⓒ연합뉴스
    내년도 최저임금 심의를 앞두고 노동계와 경영계 양측이 팽팽하게 대립한 가운데, 경영계가 최저임금의 무리한 인상이 '스태그플레이션' 악순환을 가져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27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최남석 전북대 무역학과 교수에게 의뢰해 진행한 '최저임금 상승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에 따른 시나리오별 일자리 감소 규모를 제시했다.

    최 교수는 "물가 상승과 경기 침체가 겹치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커진 상황"이라며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이 이뤄지면 물가가 추가로 상승하는 악순환에 빠지고, 영세 중소기업의 일자리가 더 크게 위협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정책본부장은 "원자재 공급난 상황에서 최저임금마저 인상되면 충격이 배가 될 수밖에 없다"며 "과도한 최저임금 인상을 자제하고, 업종·지역별 차등 적용 등의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경련은 보고서 분석 결과 내년 최저임금이 시간당 1만 원으로 인상되면 최대 16만 5000개의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노동계의 요구대로 최저임금을 1만 890원으로 인상(18.9%)할 경우 최대 34만 개의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앞서 2019년 최저임금 10.9% 인상으로 총 27만 7000개의 일자리가 감소한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종사자 5인 미만 사업체에서만 최대 10만 9000개의 일자리가 감소해 영세업체들의 타격이 컸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내년 최저임금이 1만 원으로 인상되면 종사자 5인 미만 영세사업체에서 최대 7만 1000개의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1만 890원으로 인상될 경우 최대 14만 7000개가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1만원으로 인상 시 숙박음식점업에서만 최대 4만1000개의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청년층은 최대 4만5000개, 정규직은 최대 2만8000개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소기업계 현장에서도 최저임금 인상이 고용 축소 등 근로자에게 부메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중소기업중앙회 노동인력위원회는 이날 서울 여의도 중앙회에서 '2023년도 최저임금 동결 촉구 대국민 호소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현장에는 업종별 중소기업 협동조합과 협회 대표 12명이 참석했다.

    윤영발 한국자동판매기운영업협동조합 이사장(지앤비벤딩 대표)은 "어려운 경기상황으로 매출이 늘지 않는데 최저임금이 오르면서 어쩔 수 없이 근로시간을 줄여 대응하고 있다"며 "근로시간이 줄어드니 매출이 주는 악순환인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중앙회와 한국경영자총협회가 공동으로 중소기업 6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대책이 없다고 대답한 곳은 47%, 고용 감축(9.8%)이나 신규채용을 축소(36.8%)하겠다는 응답도 많았다. 전체 응답자의 59.5%는 최저임금을 동결·인하해야 한다고 답했다.

    주보원 중앙회 노동인력위원장은 "사장들도 여력만 된다면 근로자들에게 임금을 더 주고 싶다"며 "코로나19 영향이 진정되며 경기가 회복될 것이란 기대감도 잠시였다. 지난해부터 원자재 가격이 폭등하면서 중소기업들은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올해는 고물가 속 저성장 기조로 인한 영세기업의 어려움이 크다"고 강조했다.

    이태희 중소기업중앙회 스마트일자리본부장은 "최근 5년간 최저임금 인상률이 42% 가량"이라며 "지급 여력이 없어 최저임금 미만율이 높고, 업종별 편차가 크다. 음식·숙박업 등 영세하고 어려운 업종은 배려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금 인상이 물가상승을 부추긴다는 설명이다.

    재계 관계자는 "지난 20년간 한국 노동자의 평균 임금 상승률이 주요 5개국(G5)과 비교해 두 배 이상"이라며 "노동비용이 크게 증가해 물가상승을 압박하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성과 및 생산성 등에 연동되지 않은 임금 인상은 물가상승 부추길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최저임금위원회에 따르면 28일 제7차 전원회의에서는 노사가 최초 요구안을 놓고 본격적인 최저임금 심의에 나선다. 직전 회의에서 노동계 측인 근로자위원은 올해보다 18.9% 인상된 1만890원을, 경영계 측은 사용자위원은 올해와 같은 동결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