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세대 → 4세대' 21만건자기부담 많고 비급여 할증 발목구실손 인상 압박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4세대 실손보험 출시 1주년을 맞았지만, 전환율은 0.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가입 건수를 포함해도 전체의 3%대에 머물러,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비급여 치료 빈도가 높을수록 보험료가 할증되고, 자기부담금이 이전 세대 실손보다 높아 소비자들의 호응이 낮다는 분석이다. 

    5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최근 수치인 3월말 기준 10개 손보사의 '1~3세대 → 4세대' 전환 건수는 21만건으로 집계됐다.

    손보사들의 총 실손 가입 건수가 2883만건인 것을 감안하면 전환율은 0.7%에 불과하다. 같은기간 4세대 신규 계약 69만건을 더해도, 전체 비중은 3.1%가 고작이다.

    일각에선 월평균 전환건수가 지난해 하반기 1.7만건에서 올들어 3.8만건으로 2.2배 증가했다며 기대를 품고 있지만 당초 예상치에 크게 못 미친다는게 일반적인 평가다.

    최근 보험권이 '4세대 실손 계약전환 50% 할인' 혜택을 금년말까지 6개월 연장키로 한 것도 이같은 배경이다.

    앞서 보험업계는 지난 1월부터 6월까지 기존 구 실손보험(1~3세대) 가입자의 4세대 전환시, 1년간 보험료 50% 할인 혜택을 한시적으로 제공했다.

    업계는 전환률이 저조한 이유로 먼저 비급여(국민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는 의료 항목) 진료를 많이 받을수록 보험료가 할증되는 구조를 꼽는다. 

    그간 비급여 과잉·과다 진료가 실손 손실을 키운 주범으로 지목, 당국은 할증 구조를 내세웠지만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온 모습이다.

    당국은 직전 1년간 받아간 비급여 보험금에 따라 등급을 매기는 '보험료 차등제'를 적용했다. 비급여로 100만원 이상의 보험금을 받은 가입자는 보험료 100% 할증이, 15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인 4등급과 300만원 이상인 5등급 가입자는 각각 200%, 300% 할증이 적용되도록 했다.

    아울러 진료비 자기부담비율이 기존 실손 대비 20∼30% 높은 점도 부진 요인이다.

    1세대 실손 가입자는 일부 치료비 전액을 보장 받을 수 있으며, 2세대의 경우 급여·비급여 등 조건에 따라 치료비의 10~20%를 가입자가 부담한다. 3세대의 자기부담률은 급여는 10~20%이며 비급여는 20~30%다. 반면 4세대는 급여 20%, 비급여 30%다. 때문에 비급여 진료를 계속 이용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1~3세대 상품을 유지하는 편이 낫다.  

    4세대는 비급여 치료 전체를 특약으로 분리해 보장범위가 좁아졌다는 불만과 구세대 실손 보험료 인상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계속 나오고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실손 누적 적자를 줄이기 위한 4세대 정책들이 오히려 발목을 잡고 있는 모습"이라며 "이 같은 흐름이 이어진다면 구세대 유지비율이 높아져 결국 1~3세대 실손 손해율도 같이 올라가 보험료 인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 지난해 실손보험의 손해율은 130%를 초과했다. 이는 100원의 보험료를 받아 130원의 보험금을 지급했다는 얘기다. 보험연구원은 2031년까지 실손 누적 적자가 112조 3000억원, 손해율은 166.4%가 될 것으로 추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