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기술위, 해양방류 가능 판단"방류시기 특정하지 않고 '조용히' 방류수족관 전시용 고래 더는 못 들여와
  • ▲ 비봉이.ⓒ해수부
    ▲ 비봉이.ⓒ해수부
    해양수산부가 국내 수족관에 남아있는 마지막 남방큰돌고래 '비봉이'를 바다로 돌려보내기 위해 본격적인 야생 적응훈련이 진행 중이라고 3일 발표했다.

    제주도 연안에 120여 개체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남방큰돌고래는 2012년 해양보호생물로 지정됐다. 지정 당시 국내 수족관에 총 8마리가 사육되고 있었다. 좁은 수족관을 벗어나 자유롭게 살 수 있게 2013년 '제돌이' '춘삼이' '삼팔이'를 시작으로 2017년까지 총 7마리를 방류했다. 지금은 제주 퍼시픽랜드(㈜호반호텔앤리조트)에 비봉이 1마리만 남은 상태다.

    해수부는 제주도, 호반호텔앤리조트, 시민단체, 전문가 등과 함께 방류협의체와 기술위원회를 구성해 비봉이에 대한 보호·관리 방안을 논의해 왔으며 지난달 초 해양방류를 위한 협약을 맺었다.

    비봉이는 퍼시픽랜드의 수조를 벗어나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 연안에 설치된 가두리 훈련장에서 활어 먹이훈련, 야생 돌고래 개체군과의 교감 등 야생적응 훈련을 거쳐 제주도 인근 해역에 방류될 예정이다.

    해양방류는 △방류가능성 진단·방류계획 수립 △사육수조 내 적응훈련 △가두리 설치·이송 △가두리 내 야생적응 훈련 △방류·사후 모니터링 등 5단계로 진행한다. 현재는 사육수조 내 적응훈련을 마친 상태다. 살아있는 먹이를 직접 사냥하는 등 빠른 적응을 보이고 있다. 기술위원회는 비봉이 건강상태와 먹이 섭식상태를 진단한 결과 해양방류가 가능한 상태라고 판단하고 있다. 비봉이는 조만간 가두리로 이송돼 야생 환경 적응 훈련과 함께 야생 돌고래 무리와의 접촉·교감을 시도할 예정이다.

    해수부는 방류 땐 비봉이에 위성 위치확인시스템(GPS)을 달아 적어도 1년 이상 살펴본다는 방침이다. 식별이 쉽게 등지느러미에 인식번호(8번) 표식도 부착하고 선박이나 드론 등을 이용해 건강상태와 야생 개체군 무리 합류 여부 등을 관찰할 예정이다.

    해수부는 해양 방류 과정에서 일반인 출입과 접근은 최소화하기로 했다. 해양 방류 돌고래가 야생 생태계에 빠르게 적용하기 위해선 훈련과정에서 사람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소음이나 불빛 등 외부요인을 철저하게 차단해야 한다는 전문가 조언에 따른 조처다. 해수부 관계자는 "특히 비봉이는 함께 훈련하는 동료가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외부요인에 대한 관리가 특히 중요하다"며 "단계별 훈련상황 등은 영상·자료를 제작해 공개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방류 시기는 미리 정하지 않고 기술위원회 평가를 따를 계획이다. 요란한 행사 없이 '조용히' 방류할 생각이다. 또한 야생적응 훈련 과정에서 해양방류가 어렵다고 판단되면 별도의 보호·관리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 ▲ 해수부.ⓒ연합뉴스
    ▲ 해수부.ⓒ연합뉴스
    해수부는 앞으로 해양동물의 복지 개선을 위한 정책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앞으로 수족관에서 전시를 목적으로 새로 고래류를 들여오는 것을 금지한다. 사육 중인 고래류에 대해선 올라타기 등 스트레스를 가하는 행위를 못 하게 막는다. 체험프로그램 지침도 마련한다.

    수족관 동물을 학대하는 행위, 관찰·관광 활동 시 해양동물의 이동이나 먹이활동을 방해하는 행위 등도 금지한다. 현재 등록제인 수족관 설립은 허가제로 바꾼다.

    해수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동물원·수족관법'과 '해양생태계법' 개정안이 현재 국회에 상정돼 있다"며 "이른 시일 내 개정안이 시행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해수부는 국내 고래류 서식실태에 대한 정밀조사와 고래 바다쉼터 조성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수족관 업계와 전시·사육 중인 고래의 자연생태계 복귀에 대해서도 지속해서 논의해나갈 방침이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비봉이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여 방류과정을 관리해나가겠다"며 "해양동물의 복지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